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1-07-02
  • 담당부서
  • 조회수102
경부고속철도 오송역사 신축사업 추진이 늦어지고 있어 지역주민들의 희망대로 2004년 개통되기 어려울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지난해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어렵게 오송역사 실시설계용역비 30억원을 확보했으나 건교부에서는 상반기가 지났는데도 발주를 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로 충북도를 비롯한 지역의 적극적인 추진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충북도와 대책위 등은 지난 96년 건교부가 제시한 역세권 인구 1백만명 초과시 역설치를 검토한다는 조건을 충족시켰다면서 그동안 지속적으로 중앙부처에 오송역(청원군 강외면 오송리·서울기점 1백20㎞지점) 설치를 촉구해 왔다.

도와 지역출신 의원들은 오송역사를 2004년 고속철도 개통에 맞춰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내세우면서 지난해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30억원의 실시설계용역비를 확보했다. 지난해 확보한 용역비는 충북도가 정부예산 편성시 요청한 것을 주관부처인 건교부에서 기획예산처에 요구를 하지 않자 지역출신 의원들이 국회심의 과정에서 반영시킨 것이다.

그러나 건교부는 기본계획이 변경되지 않은점 등을 들어 상반기가 지나도록 용역을 발주하지 않고 있는 상태로 설계 착수 시기와 역사규모를 검토중이라는 입장만을 밝히고 있다.

또 건교부는 충북도가 요청한 내년도 오송역사 신축사업비 4백억원도 평택·김천 등 다른 지역 역사의 사전검토를 선행해야 한다는 방침에 따라 한푼도 반영하지 않았다.

이로인해 올해 실시설계에 착수한 다음 내년부터 연차적으로 사업비를 확보, 2004년 고속철도와 함께 역사를 개통한다는 충북지역의 계획 실현이 어려워질 전망이다.

이같은 실정에 따라 경부고속철도 기본계획 조기 변경과 오송역사 실시설계용역 발주, 내년 건설사업 예산 확보 등이 종합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충북도와 지역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충북도 관계자는 『지난달 29일 지역출신 국회의원 초청 간담회에서도 오송역사 건립 추진상의 문제점을 심도있게 거론했다』면서 『도민들의 숙원사업인 오송역사 건립을 위해 기본계획 변경과 설계용역발주 등을 지속적으로 촉구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장선배기자 changsb@cc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