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1-07-10
  • 담당부서
  • 조회수217
그동안 용역업체의 용역수행 지연으로 난항을 겪던 충북·강원·경북
등 3개 광역단체의 종합적인 개발계획인 ‘중부광역권 개발계획’에
시동이 걸렸다.
정부와 충북도에 따르면 국토의 효율적인 개발과 지역간 균형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4차국토종합계획을 수립, 추진하고 있다.
4차국토종합계획은 전국을 아산만권과 전주·군장권, 광주·목포권, 광
양만·진주권, 대구·포항권, 강원·동해권, 부산·울산·경남권, 대
전·청주권, 중부내륙권, 제주권 등 모두 10개 광역권으로 나눠 지역간
특성을 살리는 동시에 연계발전을 꾀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월 당초 광역권에 포함돼 있지 않던 충북·강원·경북
등 3개 도를 하나의 개발축으로 하는 중부내륙권이 4차 국토종합계획
에 포함됨에 따라 내륙 낙후지역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개발이 가능
하게 됐다.
충북도와 강원·경북 등 3개 광역단체는 지난해 4차례의 실무협의회를
갖고 개발 공간범위를 확정하는 한편 국토연구원에 개발계획 연구용역
을 의뢰했다.
이들 3개 도는 3도 접경지역인 충북 충주·제천·단양, 경북 영주·봉
화·예천, 강원 영월·원주 등 3도 3시 2군 19개면 6349㎢를 공간범위
로 결정했다.
또 충북 2억원, 강원 1억원, 경북 1억원 등 모두 4억원의 용역비를 분
담키로 하고 충북도를 용역주관기관으로 선정했다.
그러나 당초 지난 2월 연구용역을 발주할 예정이었으나 용역기관인
국토연구원이 당초 협의된 사항을 이행하지 않은 채 수개월 지나도록
계약체결을 지연, 개발계획 추진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국토연구원은 지난해 8월부터 광역권개발계획 수립 때 사전환경성 검
토를 받도록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이 개정됨에 따라 환경성 검토 범
위가 불확실하다는 이유로 계약체결을 유보해 왔다.
특히 환경업체 선정을 둘러싸고 국토연구원내 계약담당부서와 개발계
획 수립부서간 내부적 갈등으로 용역체결이 지연되는 등 중부내륙권
개발계획 추진에 차질을 빚어 왔다.
충북도는 이와 관련, 지난 5월 이후 국토연구원을 직접 방문하는 등
지속적인 협의시항 이행을 촉구해 오는 13일 용역계약을 체결키로 합
의했다.
이에 따라 빠르면 내년말이나 늦어도 오는 2003년 상반기 안으로 중부
내륙권 개발계획이 최종 확정될 전망이다.
<김동진 기자>
jini@dy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