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1-09-24
- 담당부서
- 조회수100
건설업체간 과당경쟁의 영향으로 건설공사 수주난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에는 일반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전문건설업체들의 하도급 수주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어 각종 부작용이 우려되고 있다.
특히 자치단체 소속 공무원들은 물론 권력기관, 언론기관, 사회단체장 등의 하도급개입이 비일비재하게 이뤄지고 있어 일부 일반 건설업체들이 공사를 따고도 공사를 포기하고 싶을 정도의 괴로움을 겪고 있다.
충주지역 일반건설업계에 따르면 관급공사 발주량 감소와 업체난립의 영향으로 1년에 한건 정도 수주하기도 힘든 상황에서 공사를 수주하면 금액과 상관없이 벌떼처럼 달려드는 전문업체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는 것.
더욱이 부탁을 단호하게 거절하기 어려운 발주관서 공무원과 각종 권력기관 직원 및 언론인, 동문회 선배, 사회단체 관계자까지 하도급에 개입하는 등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
실제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이 발주한 국도관련 공사를 수주한 충주지역 A업체의 경우 도내 자치단체 고위공무원들과 사회단체, 언론사 등에서 하도급을 요청하는 바람에 홍역을 치렀다.
또 최근 보은군이 발주한 3억5천만원짜리 하천정비공사를 수주한 충주의 K건설도 밀려드는 전화와 방문에 시달렸다.
K건설 관계자는 『신사적으로 부탁하는 경우도 있지만 강요 비슷하게 하도급을 달라는 경우가 대부분이다』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하도급을 주지 않을 경우 보복성 공사방해가 이뤄지기도 한다』고 밝혔다.
지역 건설단체 관계자도 『10억원 미만의 소액공사의 경우 충주·제천지역 업체가 보은·영동지역 등에서 공사를 수행하면 밑지는 경우가 많다』면서 『소액공사에 한해 지역제한에 대한 재량을 광역단체에서 기초단체로 하향하는 등 제도적인 보완책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충주 김동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