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2-03-13
- 담당부서
- 조회수103
충북도와 시·군 지자체가 앞다퉈 발표했던 올해 공공공사 발주물량이 당초 계획보다 크게 적어 건설업계가 수주난을 겪는 등 지역경제 조기 활성화에 빨간불이 켜졌다.
올 초 공공공사 조기발주를 통해 경기를 부양하겠다고 밝힌 지자체들은 1/4분기내 발주 계획 일정도 맞추지 못하는데다 장비와 인력 등 건설업계 전반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있다.
이 때문에 도내 건설업계는 오는 23일까지 예정된 건설업 등록기준 준수에 따른 예산확보 어려움에다 수주난까지 겹치면서 극심한 제반 관리 및 경영 어려움을 겪고 있다.
건설협회와 전문건설협회 충북도회에 따르면 충북도와 도교육청 등 공공기관들이 1/4분기 발주 예정인 각종 공사를 놓고 설계 지연과 예산 미확보 등 이유로 제때 발주하지 않아 ‘말뿐인 공공공사 조기발주’라는 지적이다.
건설협회 충북도회는 올 3월현재 발주건수가 90건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106건보다 16건 줄었으며 발주금액도 적어 업계의 어려움이 가중되는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전문건설협회 충북도회도 최근 발주된 건수가 100건으로 전년 동기 93건에 비해 7건 증가됐으나 연간 발주물량의 10% 수준에 그쳐 도내 업체들이 올해도 극심한 수주난에 시달릴 것으로 보인다.
전문건설협회의 경우 이같은 현상은 지난해 도내 1천200여개 업체중 50%이상 업체가 단 한 건도 공사수주를 못해 겪었던 엄청난 경영난이 올해도 재연될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이에대해 업계에서는 지자체가 지역여론을 의식해 공공공사 조기발주 발표에만 급급한데다 설계와 예산확보 등 후속대책 마련과 공사발주 일정 준수에 소홀한 것이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한정된 공사물량을 놓고 여전히 많은 업체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일 수 밖에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작성자 : 이경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