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2-03-18
- 담당부서
- 조회수102
충북도내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역 건설경기 부양과 고용촉진을 위해 실시하고 있는 공공건설 사업조기발주가 건설자재와 기술인력부족, 장비난 등의 부작용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는 지적이다.
청원군이 올해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공공건설 조기발주계획을 보면 올 총214건(789억원)으로 이중 80∼90%이상을 상반기에 발주할 예정인 가운데 16일 현재 63건(45억원)의 사업이 발주됐다.
또 충주시가 195건(943억원)사업에 현재 1억원 이상 주요사업 35건(98억원)이 발주된 상태고 나머지 사업도 상반기 100%발주를 계획하고 있으며, 괴산군이 총 142건(387억원)의 사업에 45건(56억원)이, 영동군도 284건(443억원)의 사업에 40건(60억원)의 사업이 각각 조기 발주된 상태며, 이들 자치단체에서는 나머지 사업도 상반기 내에 모두발주를 계획하고 있다.
진천군은 지역 건설경기 평균화를 위해 총 사업146건(484억원)중 상반기에 75%인 110여건(363억원)발주를 계획하고 현재 51건(235억원)이 발주됐다.
이런 가운데 도내 타 시·군 자치단체에서도 올 사업 대부분을 상반기에 발주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어 이럴 경우 공사가 한꺼번에 쏟아지게 돼 지역 건설업계의 기술인력 및 장비부족 사태가 빚어져 조기발주가 오히려 지역건설경기에 역효과를 가져오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건설업계측은 “건설공사 조기발주로 단기간 내 많은 공사를 소화하기 위해서는 인력과 장비를 집중 투입해야하기 때문에 벌써부터 장비사용료와 인건비 상승, 시멘트와 레미콘, 철근 등 주요 건축자재 가격인상은 물론 품귀현상까지 염려되고 있다”며, “조기발주를 위해 설계업체와 공무원들이 단기간 내 많은 공사에 대한 설계와 측량을 해야하기 때문에 부실시공이 될 우려마져 낳고 있다”고 밝혔다.
청원 / 조항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