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2-04-03
  • 담당부서
  • 조회수99
도내 건설관련 단체들이 각종 현안에 공동 대응할 협의회를 구성함에 따라 향후 지역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건설단체들은 그동안 공공공사 발주는 물론 건설관련 제도, 회원사에 대한 불이익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되면 제각각 대응하는 방식으로 업무처리를 해 왔다. 그동안 많은 현안들이 있었으나 건설업 특성상 각 단체로 구분돼 있고 창구단일화가 안돼 건설단체들은 그동안 비용과 시간을 낭비해 왔다.

예를 들어 기초자치단체의 입찰참가수수료징수 문제를 놓고 보더라도 건설협회와 전문건설협회 등 도내 6개 단체는 개별적으로 지자체 방문과 공문발송, 도·시의원 간담회 등 산발적인 제도개선 요구를 하는 바람에 아직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사례는 비단 입찰수수료 한가지 현안에 국한된 문제는 아니었다.
이 때문에 이번 건설단체협의회 구성은 각 단체와 회원사들이 피부로 느끼는 다양한 현안에 공동 대처하는 등 창구단일화를 통한 비효율을 제거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그러나 이번 모임의 선행주제인 입찰수수료 제도개선과 제잡비율 상향조정, 레미콘 공동판매 대응 등 문제들을 놓고 볼 때 지자체 조례개정과 교육청 예산 추가확보, 레미콘 부당판매 자제 등 제도와 관행을 변화시켜야 하는 난관이 있고 이를 어떤 방식으로 접근해 성과를 거둘 것인지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게 참석자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따라서 건설단체들은건설업 발전과 지역경제 기여도 제고를 위해 각 단체의 중지를 모아 신중하게 대처하는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작성자 : 이경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