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2-04-16
  • 담당부서
  • 조회수102
건설업계가 입찰수수료 인하 및 폐지를 요구하고 있는 가운데 충북도가 입찰수수료 징수 문제점 파악과 대안마련을 위해 도내 시·군지역 입찰수수료 징수 실태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건설협회 등 도내 건설단체협의회 회원들은 15일 시내 모 음식점에서 이원종 충북도지사와의 간담회를 열고 건설업계의 애로사항인 입찰수수료 징수문제와 도내 하상골재 채취 허가완화 등 현안문제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이날 강창수 전문건설협회 충북도회장은 “시·군지역 입찰 참가 회원업체들이 업체당 연평균 500만원 안팎으로 큰 비용부담을 안고 있다”며 “전자입찰제 실시로 지자체는 종이값도 부담하지 않고 있어 수수료 징수를 고수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말했다.

김영세 주택건설협회 충북도회장도 “건설공사 성수기에 골재수요가 폭등해 도내 업체들이 금강 등 외지에서 모래 등 반입하면서 비용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가격 안정과 공사지연 해소 등을 위해 청원군 미호천 등의 골재채취 허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지사는 이에 대해 “입찰수수료 징수가 꼭 필요한지 여부를 면밀하게 검토할 것을 지시하겠다”고 밝히고 “미호천 하상골재 채취는 하상구조물 위험 등 문제로 무작정 허가를 남발할 수 없고 골재채취 허가가 가능한 지역이 있는지 실태조사를 하겠다”고 언급했다.

한편 일부 시·군지역 공무원들이 인허가 처리지연 및 전문성 부족 등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는 건설업계의 지적에 대해 이지사는 “다른 지역 사례나 구체적인 자료를 주면 시장·군수회의에서 안건으로 삼아 논의하겠다”며 “시·군별로 조례가 달라 생기는 민원도 준칙을 만들어 해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작성자 : 이경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