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2-06-07
  • 담당부서
  • 조회수102
유통과 제조업계의 표심 끌어안기에 주력하고 있는 지방선거 출마자들이 지역경제 핵심인 건설업 활성화에는 무관심하다는 지적이다.

지방선거 출마자들이 재래시장 활성화와 하이닉스 매각반대 등 현안이 되고 있는 산업에 대한 다양한 해법과 대책 등 말잔치를 벌이고 있는 것과 달리 건설업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입찰수수로 인하 및 폐지, 하도급 비율 상향조정, 교육청 제잡비율 인상, 주공 공사 지역업체 참여 확대 등 많은 건설업계의 현안을 해결하겠다고 나서는 출마자의 공약이나 의견수렴은 어디에도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공사발주처인 행정기관과 밀접한 관계를 고려해 ‘굿이나 보고 떡이나 먹겠다’는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는 건설업계가 잔치에서 배제되고 더 나아가 건설업 위상추락을 자초한 원인이 되고 있다.

또 지방선거 출마자들도 건설업계를 단순 이익집단으로 소홀하게 인식하기 보다 지역경제의 핵심으로 당당하게 자리잡고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현실적인 건설산업 마인드를 갖고 접근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도내 건설업계에 따르면 건설업계는 오는 6·13 지방선거 출마자들이 재래시장 활성화와 하이닉스 매각반대 등 다양한 경제공약을 발표하고 있으나 건설업체의 현안에 대해서는 한 마디 말이 없어 소외감이 팽배한 실정이다.

건설업계는 지난 5월 입찰수수료 폐지를 단행한 청주시처럼 시군지역 출마자들이 시대에 맞지 않는 입찰수수료 폐지검토를 공약으로 내세웠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또 단체장의 의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공동도급 비율과 대형공사 지역업체 하도급 확대 등 지역경제 활성화와 직결될 수 있는 사안에 대한 관심이 전혀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불만도 터져나오고 있다.

이밖에도 국가계약법상 규정을 위반하고 있는 교육청의 제잡비율 하향적용 문제와 주공 발주공사의 외지업체 독식 등 지역 건설업계를 고사시키는 원인에 대한 인식부족과 현안해결 접근노력도 눈에 띄지 않고 있다는 비판도 고개를 들고 있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경제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건설업계가 지역사회에서 위상정립에 실패하고 있다는 사실을 출마자들의 공약 발표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말했다.

/작성자 : 이경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