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2-07-18
- 담당부서
- 조회수102
철근과 레미콘 등 주요 건설자재의 조달 단가계약 체결이 늦어지면서 하반기 공공공사 자재 수급에 차질이 예상되고 있다.
특히 레미콘 등 시멘트 2차제품의 경우 업체들의 수정계약 요구에도 불구하고 조잘청의 가격조사가 지연되면서 계약이 제때 성사되지 않은 상황이어서 자칫 업체들의 집단 관수납품 거부사태가 우려되고 있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가격 등 계약조건을 둘러싸고 조달청과 자재 생산업체들의 이견으로 조달 단가계약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더욱이 제조업계에서는 민간납품시 받을 수 있는 가격보다 낮은 수준으로 단가계약이 이뤄지고 있기때문에 이번 계약에서는 단가를 대폭 인상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실제 레미콘의 경우 민수가격은 연초에 비해 15∼20%가량 상승했지만 조달가격은 연초에 책정한 가격에서 변동없기 때문에 업체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제조업체들은 이에 따라 단가를 인상해 달라며 수정계약을 요구하고 있지만 조달청에서는 시장가격 조사 등을 이유로 수정계약을 미루고 있는 실정이어서 갈등이 확산될 조짐까지 보이고 있다.
특히 건설경기가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민수 납품물량이 대폭 증가하자 공급물량 부족을 느끼는 레미콘업체들이 단가면에서 떨어지는 관급에 의지할 필요가 없어지면서 자칫 관납거부 움직임까지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 레미콘업계 관계자는 “민간납품가격과 관급가격이 10%이상 차이가 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라며 “현재상태로 지속될 경우 시멘트가격 인상 등으로 원가부담을 안고 있는 레미콘업체들이 관급물량을 포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업계는 또 철근제조업체들도 원자재 조달가격 인상으로 민간부문 납품가를 대폭 올렸으나 조달 단가계약대로 납품할 경우 손해를 볼 수 밖에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올들어 두번씩 상승한 시중가격과 크게 차이나는 관수 납품에 부정적인 시각이 있어 계약지연이 장기화 될 경우 도로, 교량 등 공공공사 추진에 막대한 지장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대해 조달청 관계자는 “계약체결과 관련 이들 업계가 요구하는 가격 등의 수준이 너무 높아 국민의 세금이 낭비될 우려가 있다”며 “업체들과의 지속적인 협의를 거쳐 원만한 가격선을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민우기자minu@cc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