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3-03-19
- 담당부서
- 조회수97
영동군이 지난주 449건에 달하는 수해복구공사 발주를 마쳤으나 건자재 품귀와 인력난, 발주지연에 따른 절대공기 부족, 토지보상 지연 등 갖가지 장애물이 겹치며 난항이 우려된다.
당초 군은 지난해 말까지 공사를 100% 발주하고 올 6월 우기전에 끝낸다는 구상이었다. 그러나 설계가 늦어진 52건이 해를 넘긴데다 지난해 발주한 사업도 동절기 공사중단을 맞으며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이에따라 하천·도로·수리시설 등 264개 사업장 가운데 완공은 60여곳에 불과하고 대부분 공정이 40% 미만에 머무는 저조한 복구실적도 이같은 우려를 뒷받침한다.
무엇보다 건자재난이 심각하다. 철근의 경우 관급은 운송료를 선불로 줘도 한달 이상 기다려야 확보가 가능하다. 사급을 쓰면 즉시 조달이 가능하나 톤당 47만원대로 관급(36만원대)보다 30%나 비싸 시공업체 입장에서는 진퇴양난인 셈이다.
한 시공업자는 “지난 1월 운반비를 선불로 주고 관급 철근을 신청했으나 아직까지 신청물량을 모두 받지 못했다”며 “사업장이 크게 늘어 상황은 더 악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관내 3개 업체서 공급하는 레미콘도 갈수록 수요가 늘어 시공업자들은 수요물량의 30% 정도가 부족할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산간이나 원거리 지역 사업장은 과수요가 발생하면 운송이 어려운 공사장부터 불이익을 받을 것 아니냐며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설상가상으로 인건비와 장비 임대료까지 크게 오른데다 선불이나 현찰만 통하고 있어 일부 하도급업체들의 도중하차도 우려되고 있다. 목수의 경우 지난해 8만원 하던 일당이 10만원으로 뛰었으며 포크레인 임대료도 소형이 하루 22만원에서 26만∼28만원, 중형은 28만원에서 33만원으로 치솟았다.
하천 및 도로 공사장에서는 토지보상이 문제로 꼽힌다. 분할측량에 감정평가, 감정가 및 보상 결정 등의 절차를 밟아야 하며 보상거부 등의 민원과도 마주쳐야 한다. 실제로 지난해 착공을 하고도 토지보상 절차가 늦어져 공사를 일시 중단한 사업장이 적지않다.
또 군이 우기전 완공을 무리하게 밀어 붙일 경우 부실공사가 초래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이같은 실정은 지난해 수해를 입은 옥천군과 진천군·천안시 등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조사돼 오는 6월 장마철이 닥치면 또다시 피해를 입을 우려가 높다는 여론이다.
군 관계자는 “영농철 전까지 농경지 복구에 주력해 농사에 문제가 없도록 하고 16개 대형공사를 제외한 나머지 공사도 올 장마철 전에 매듭지을 계획이다”며 “전체적인 공정이 크게 뒤진 편은 아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