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3-04-01
  • 담당부서
  • 조회수96
영동지역 건설업체들은 영동군이 수해복구공사 수의계약시 수익성이 높은 알짜배기 공사는 외지업체에 배분하고 지역업체에는 작업이 어렵고 규모도 적은 부스러기 공사를 나눠줬다며 분개하고 있다.

업자들은 작업환경이 나빠 장비와 자재반입이 어렵고 공사액이 적어 수익성도 낮은 세천이나 소하천 복구공사들이 대부분 지역업체에 배분된 만면 청주 등 외지업체는 작업여건도 좋고 규모도 큰 실속있는 공사를 차지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표적인 케이스로 지목되는 업체가 청주소재 S건설이다. 이 업체는 지난해 11월 수해로 유실된 영동읍 예전리 마을기반 조성사업 1∼ 2차분 10억 6000만원짜리 공사를 수의계약으로 받았다. 수의계약으로 발주된 단일공사로는 최다액이다. 군은 신속한 복구를 위해 경륜있는 업체를 불러들였다고 해명했으나 예전리 수재민들은 아직도 임시거처인 컨테이너에서 고생하고 있다. 업자들은 “사업능력을 갖춘 지역 일반업체 30여개가 당시 일감이 없어 수해복구공사 발주만 학수고대하고 있었다”며 군의 변명을 일축했다.

이밖에 청주소재 B건설이 ‘알짜공사’로 알려진 5억 1800만원짜리 도로복구공사를 차지했고 J건설은 5억 7000만원짜리 제방 복구공사를 따냈다. 업자들은 “영동이 수해로 어려움을 겪을 때 지원을 외면했던 업체들인데도 특혜를 받았다”며 배경에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이밖에 Y건설 M종합건설 등 5개 외지업체가 3억원 이상의 노른자위 공사를 수의계약으로 받은 반면 지역의 상당수 전문업체들은 건수는 많지만 품이 많이 들고 이문이 적은 수천만원대 소규모 공사들을 배분받았다.

지역 S건설의 경우 견적입찰을 제외한 순수 수의계약공사를 5건 받았으나 이 가운데 4건이 세천과 소하천 공사이며 전체 공사액도 2억 2000만원대로 한건당 4000만원에 불과하다.

군이 제시한 계약내역을 보면 이같은 현상이 학연히 드러난다. 수의계약 공사 425건 가운데 지역업체에 389건(427억원)이, 외지에 36건(109억원)이 배정돼 액면상 지역이 배려된 듯 보이지만 실상은 딴판이다. 1건당 공사액을 추산하면 지역은 1억 900만원, 외지는 3억 300만원으로 3배나 차이가 난다.

한 업자는 “노른자위가 누구의 몫으로 돌아갔는지는 삼척동자도 알일이다”며 “군에 철저하게 배신당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영동 권혁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