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3-05-09
- 담당부서
- 조회수94
영동지역 일부 수해복구공사가 현장상황이 제대로 설계에 반영되지 않은 채 성급히 발주돼 뒤늦게 설계변경을 하느라 공사에 차질을 빚고 있다.
충북도와 영동군은 지난해 태풍 ‘루사’로 피해를 입은 하천, 도로, 교량 등 588곳에 대해 1천16억여원을 들여 복구에 나서고 있으나 현장파악이 제대로 안된 채 발주된 곳이 많아 최근 설계변경으로 증액되는 수해복구비 266억원을 건교부에 추가 요구했다.
도가 발주한 26곳의 하천복구공사 중 4곳이 당초 사업량을 잘못 책정해 135억원(추정액)의 공사비를 증액해야 하고, 군이 발주한 46곳도 공사비 131억원(추정액)을 늘리는 방식으로 설계를 변경해야 한다.
영동읍 영동천은 수해 재발을 막기 위해 2.5㎞의 둑과 2곳의 교량가설(30m·추정액 40억원)이 불가피하고 추풍령면 추풍령천도 1.3㎞의 둑(추정액 15억원)을 더 쌓아야 한다.
용화면 용화천과 영동읍 주곡·초강천도 무너진 둑 일부가 설계에 반영되지 않았다.
이는 태풍 피해 후 불과 5일만에 피해조사가 이뤄진 데다 중앙 확인작업도 이를 토대로 진행돼 누락된 피해시설이 많기 때문이다.
500여건의 공사가 한꺼번에 진행되면서 부실시공도 우려되고 있다.
영동군의회가 지난달 23∼28일까지 공사비 1억원 이상 대형공사장 39곳을 조사한 결과 모두 16곳(41%)에서 미비한 시공과 부실한 현장관리 문제가 지적됐다.
조사에 참여한 한 의원은 “예산부족으로 하천 폭을 제대로 넓히지 못해 많은 비가 올 경우 병목현상이 우려되고 성토한 흙과 돌을 제대로 다지지 않아 지반침하가 우려되는 현장도 있다”고 말했다.
군 관계자는 “현행 ‘자연재해조사 및 복구계획수립지침’에 재해 발생 5일 안에 피해조사와 복구계획을 수립토록 해 정확한 현장조사가 불가능, 설계변경을 하는 사업장이 많다”며 “대형재해의 경우 충분한 조사기간을 둬 누락분이 없도록 하고 조사·측량·설계를 끝낸 뒤 복구예산을 확정하는 방식으로 복구절차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영동 / 김국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