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3-05-29
- 담당부서
- 조회수95
충북도가 영동군 수해복구공사 대부분을 우기인 8월 이후를 준공시한으로 발주해 수해복구에 안일하게 대처했다는 지적을 받고있다.
충북도와 도 산하 건설본부는 지난해말과 올초 영동군 매곡면 초강천 수원제 공사 등 영동군내 수해복구공사 30건(748억원 규모)을 발주했다.
도가 발주한 17건 가운데 현재까지 양산면 호탄제와 양강면 마포제 공사 등 2건만 준공됐을 뿐 나머지 15건은 내년 2월말 준공으로 계획돼 종합공정이 40%선에 그치고 있다.
건설본부가 발주한 13건 가운데도 준공은 1건도 없으며 6건이 7월말, 나머지 7건은 8월말 준공을 공기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때문에 7∼ 8월에 찾아오는 우기를 복구공사 도중에 맞을 수밖에 없어 복구현장이 수해를 당하거나 수해의 요인이 되는 최악의 상황까지 우려되고 있다.
실제로 공사구간 하천 대부분이 공사중인 구조물, 돌 자갈 등 자재, 가도로 등으로 막혀있어 큰비가 내리면 이들이 물흐름을 막는 장애물로 돌변, 하천범람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 다릿발 공사가 진행중인 용산면 초강천 산저교 신축공사장의 경우 대형 다릿발들이 하천을 가로지르는데다 바로 옆에 기존 교량까지 위치해 있어 하천 수위가 높아지면 물길을 차단하는 이중 장애물이 될 수밖에 없다.
지역주민들은 도가 발주한 복구 공사 대부분이 지난해 수해의 진원지가 됐던 초강천 학산천 궁촌천 등 대형하천 제방공사라 공사구간을 분할 발주해서라도 공기를 최대한 앞당겨야 했다며 도의 안일한 인식을 비난하고 있다.
충북도 관계자는 “하천의 종합적인 개량복구를 위해 분할발주를 피했다”며 “우기전에 하천을 확장하는 공정을 끝내고 공사장을 철저히 정비해 수해를 예방하겠다”고 말했다.
/영동 권혁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