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3-07-10
  • 담당부서
  • 조회수94
행정수도를 충청권으로 옮기면 오는 2020년까지 28조원 가량의 건설시장 수요가 새로 발생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국내총생산(GDP)은 48조원이 늘어나고 수도권 인구도 38만명 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국토연구원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등 14개 기관으로 구성된 신행정수도연구단은 9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신행정수도건설 파급효과’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하고 이같이 분석했다.


파급효과 분석에 따르면 연구단은 신행정수도 건설로 오는 2020년까지 국내총생산이 47조8천억원에서 48조4천억원 가량 증가하고 지역별로는 중부권의 GDP가 15조2천억∼15조8천억원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수도권의 GDP는 15조3천억원 늘어나고 영·호남권의 GDP도 17조2천억원 이상 증가하는 등 전국적으로 고른 생산증가 효과가 나타나 기존에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제시했던 37조원의 건설비는 투자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이와 함께 산업별 수요측면에서는 건설업의 시장규모가 27조9천800억원에서 28조1천100억원 가량 늘어나고 서비스시장은 9조9천100억원에서 10조3천600억원, 제조업은 13조9천200억원에서 13조9천900억원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행정수도 이전으로 인한 인구증가와 관련해서는 중앙정부부처와 일부 소속기관 공무원 1만7천명이 충청권으로 자리를 옮길 경우 2030년까지 충청권 인구가 48만명 늘고 수도권 인구는 38만명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또 수도권 정부투자기관과 정부출연 연구소까지 포함해 공공부문 종사자 5만명이 자리를 옮길 경우에는 충청권 인구가 156만명 늘어나고 수도권은 122만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허재완 중앙대 교수와 김의준 연세대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기존에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제시한 37조원의 사업비는 인구분산 및 균형개발을 위해 투자가치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며 “수도권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거나 산업이 공동화하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겠지만 수도권집중 현상에 제동을 거는 효과는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이날 연구단이 발표한 인구분산 및 경제효과는 행정수도 이전시 공무원과 그 가족이 모두 집을 옮기고 관련산업도 상당부분 이전하거나 현지 창업하며 반대로 수도권에서는 추가 개발사업이 없다는 전제아래 추정된 결과로 풀이된다.


따라서 참여정부가 행정수도를 이전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인구집중 완화와 지역균형발전에 대한 실적적 효과에 대한 논란은 여전히 남아있을 것으로 보인다.


辛正雲기자 jsheen@c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