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3-08-22
- 담당부서
- 조회수96
화물연대의 파업으로 시멘트 수송에 차질을 빚고 있다.
더욱이 이 같은 사태가 장기화할 경우 건설현장의 공정에 차질을 빚는 등 파장이 더욱 커질 것이란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21일 시멘트업계 등에 따르면 화물연대와 시멘트 수송사간의 운송료협상이 난항을 거듭한 끝에 이날 결국 파업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시멘트생산공장에서 분공장이나 레미콘업체에 운송될 예정인 시멘트의 수송이 전면 중단돼 하루 4만톤 규모의 수송차질이 불가피하다는 분석하고 있다.
특히 현재 업체들이 서울이나 인천, 대구 등 주요 도시에 두고 있는 분공장의 재고물량도 3∼5일분에 불과한 실정이어서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건설현장의 공정이 전면 중단될 위기에 놓이게 됐다.
또한 화물연대측이 합법적 투쟁을 공언하고 있지만 일부지역에서 비조합원의 정상운행을 조직적으로 방해하는 행위가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사태가 더욱 악화될 우려마저 일고 있다.
현재 시멘트수송비율은 해송과 육송, 철송이 각각 35%, 34%, 31%로 육송의 차질은 레미콘업체에 1차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어 현장에 소요되는 후속자재의 투입이 늦어지면서 공정지연이 불가피하게 된다.
해송의 경우 동해연안에 위치한 동양과 쌍용, 라파즈 한라 등의 비율이 높지만 한일과 현대, 성신, 아세아시멘트 등 단양·제천지역 업체의 육송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다.
성신양회는 43.5%를 육송에 의존하고 있으며 현대 40%, 아세아 35%, 한일 32%의 비중이다.
이에 따라 BCT운송중단으로 아세아시멘트가 하루 1만톤의 수송차질이 예상되고 있으며 쌍용양회 8천톤, 현대와 한일이 6천∼8천톤, 아세아가 4천∼5천톤의 수송이 불가능하게 된다.
화물연대의 운송료협상에서 이번 파업의 주요인으로 꼽히는 BCT부문의 경우 화물연대측이 표준요율적용이나 중앙교섭 등 업계의 현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협상카드를 들고 나오면서 운송료인상협상자체가 어려웠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화물연대측은 이와 관련 BCT 운송료 30% 인상을 요구했지만 사측에서 어떠한 조정안도 제시하지 않았기 때문에 협상이 결렬됐다며 시멘트업체측을 비난했다.
시멘트업체들은 이에 대해 업체별 공장의 위치나 운송여건, 도로사정, 거리 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전국적으로 동일거리에 동일운송료를 적용하는 표준요율제의 적용은 어렵다고 설명했다.
또 운송료협상의 대안으로 시멘트수송업체와 BCT차주간에 협상을 통해 정확한 운송원가를 분석, 적절한 인상폭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시멘트업계 관계자는 “올해들어 업체별로 운송료인상 등을 단행한 데다 지급조건 등이나 알선수수료항목도 개선해 BCT차주의 실질임금이 이미 인상됐으며 최근 화물연대간 협상을 통해 제시한 업체별 원가분석을 바탕으로 인상요인을 적극 반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시멘트업계는 BCT의 월평균운송료 1천만원에서 30% 인상할 경우 1천300만원의 매출이 발생하게 됨에 따라 유류값과 각종 비용을 제외한 실질임금 인상폭은 100%를 넘는 결과를 낳는다고 우려하고 있다.
한편 화물연대는 이날 총파업선언과 관련, “지난 20일로 예정된 파업을 유보한 이후 마지막까지 교섭 타결을 위해 노력했지만 BCT운송사 대표들이 협상안조차 제시하지 않는 등 무성의한 태도를 보였다”고 밝혔다.
朴魯一기자 royal@c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