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3-08-23
- 담당부서
- 조회수94
화물연대 파업 이틀째인 22일 주요 항만과 컨테이너기지의 컨테이너 반입물량이 평상시의 최저 30%대까지 떨어져 수출선적 차질이 커지고, 시멘트 수송이 중단되는 등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화물연대와 운송사업자간의 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진 가운데 정부도 중재에 적극 나서지 않고 있어 조기타결을 어렵게 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경기 의왕내륙컨테이너기지(경인ICD)는 운송회사 소유의 차량과 화물연대 미가입차량 130여대를 동원, 컨테이너 수송에 나섰으나 화물트럭에 의한 운송량이 평소의 60%에 그쳤다. 광양항은 철도편과 환적화물을 제외한 일반 육송화물 처리는 완전 마비됐으며 운송량도 평시대비 35.6%로 뚝 떨어졌다. 부산항 신선대부두와 자성대부두 등도 반출입량이 평소의 40~65% 수준으로 떨어졌다.
이번 파업의 직격탄을 맞은 시멘트업계는 ‘벌크 시멘트 트레일러(BCT)’를 이용한 내륙수송이 사실상 전면 중단되면서 하루 평균 1백20억여원의 피해를 보고 있다. 쌍용양회 동해공장, 동양시멘트 삼척 및 창원공장 등은 시멘트 수송이 거의 중단됨으로써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자칫 조업중단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는 상황이다. 자동차, 철강, 섬유, 조선업계 등도 원자재 수송률이 평소대비 30~70% 줄면서 심각한 경영타격을 받고 있다.
컨테이너부문 12개 운송사업자들은 이날 정부 과천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화물연대가 23일까지 업무에 복귀한다면 지금까지 업계가 제시한 인상률(14%)을 적용, 운송료를 인상하겠다”며 “그러나 이후에도 운송거부를 계속할 경우 위수탁계약을 해지하고 다시는 운송의뢰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파업의 도화선이 된 BCT 사업자측은 이르면 이번주내에 운송료 인상폭 등 협상안을 만들어 화물연대측과 협상키로 방침을 정해 사태해결을 위한 여지를 남겼다.
한편 국방부는 건교부 요청에 따라 22일부터 파업이 끝날 때까지 부산항만에 군 수송장비와 인력을 지원키로 했다. 이에 따라 이날 오후 3시부터 각 부대에 소속된 69t 컨테이너 트레일러 15대 등 군 수송장비와 운전요원 30여명이 긴급 투입됐다. 23일에는 컨테이너 트레일러 20대와 운전요원 40명이 추가로 파견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