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3-08-29
- 담당부서
- 조회수95
행정수도 이전 등의 호재로 대전, 청주, 천안 등 충청지역 신규 부동산 물량은 지속적으로 급증하고 있으나 이에 따른 미분양 아파트가 속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충청지역은 전북, 경남·북 등의 타 지역보다 미분양 아파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공급 조절 등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건설교통부와 지역 주택건설업계에 따르면 충청지역은 행정수도 이전 여파에 따른 대형 브랜드 건설업체들이 신규 택지지구내 부동산 공급을 장악하고 있는데 반해 공공부문 아파트는 미분양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 6월말까지 충청지역 미분양 현황을 살펴 보면 대전 민간부분 85㎡초과 아파트 63세대를 비롯해 충남 1595가구(공공부문 1231가구), 충북 1229가구(공공부문 924가구) 등 모두 2887가구다.
또한 충청지역은 다른 광역단체보다 미분양 아파트가 월등히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실례로 울산의 경우 미분양 아파트는 536가구(민간부문 259가구), 경기 48가구(민간부문 24가구), 강원 167가구(공공부문 73가구), 전북 139가구(공공부문 31가구), 경북 262가구(공공부문 9가구), 경남 434가구(공공부문 128가구) 등으로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이에 반해 충남지역은 부여군이 미분양 아파트 756가구(공공부문 677가구)로 가장 많았으며, 연기군 273가구(공공부문), 홍성군 132가구(공공부문 72가구), 아산시 104가구(공공부문), 논산시 80가구(공공부문 20가구) 등의 순이다.
또 충북의 경우 청원군 921가구(공공부문), 진천군 138가구(민간부문), 제천시 53가구(공공부문 2가구), 충주시 40가구(민간부문), 옥천군 38가구(민간부문), 음성군 30가구(민간부분) 등이다.
이처럼 충청지역 주택 공급은 대형 건설업체의 신규 공급 물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소형 평수 위주의 공공부문 아파트는 미분양이 속출되는 등 양극화현상이 갈수록 뚜렷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주지역의 한 주택건설업계 관계자는 “아파트 투자열기가 고조되고 있는 대전, 청주, 천안 등지는 미분양아파트가 거의 없다”면서 “이외 지역은 미분양이 속출되고 있어 공급조절 등의 보완책이 마련되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민우기자 minu@cc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