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3-09-25
  • 담당부서
  • 조회수91
지자체들이 100억원 이상 대형공사를 중앙조달로 발주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24일 조달청이 국회 재경위에 낸 국감자료에 따르면 올해들어 지난 상반기까지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G2B) 홈페이지에 게시된 공고내용을 분석한 결과 지자체가 발주한 100억원 이상 대형공사는 총 64건으로 이중 중앙조달 의무대상인 PQ공사를 자체발주한 사례는 아직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중앙조달 대상공사의 자체발주에 대한 감사원 지적이 잇따르는데다 자체발주 과정에서 부작용이 만만치 않게 발생하고 조달청에서도 가능한 한 지자체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수용하고 수수료를 감면하는 등 유인책을 꾸준히 펴 왔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00억원 이상 지자체공사 64건 중 31건은 중앙조달방식으로, 나머지 33건은 해당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시공업체를 선정해 전체적으로는 52%의 자체발주 비율을 보였다.


각 지자체별로는 서울시의 경우 상반기 중 모두 12건의 대형공사를 계획, 이중 10건은 조달청을 통해 발주하고 나머지 2건만 자체 발주했다.


경기도는 17건 중 10건을 중앙조달발주해 41%의 자체발주 비율을 나타냈으며 경북도는 4건 중 3건을, 대전시는 2건 모두를, 인천시와 경남도는 계획됐던 1건을 각각 중앙조달 방식으로 집행했다.


그러나 대구시를 비롯해 울산시, 전북도, 충북도 등은 계획됐던 1건씩의 대형 시설공사를 자체 발주했다.


그동안 대부분의 지자체들은 PQ대상공사를 실적제한 전환 등의 방법으로 자체발주하는 게 관행화돼 그동안 이 문제가 국감의 주요 이슈가 돼 왔었다.


/李俸杓기자 bong@c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