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3-10-07
  • 담당부서
  • 조회수93
연 매출액 70억원 미만 중소건설업체들의 재무상태가 회복세를 보인 반면 중견·대형업체들의 재무구조는 악화된 것으로 드러났다.


건설공제조합이 9천803개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해 6일 발표한 ‘2003년 정기 신용평가’ 결과에 따르면 정식평가 절차를 거친 6천388개사 가운데 양호한 등급으로 분류되는 BBB 이상 신용평가등급 업체는 총 627개사로 전체의 9.8%에 머물렀다.


이는 4천634개 업체 중 730개사(16.7%)가 BBB 이상 등급을 받은 작년 신평에 비해 업체수로는 103개, 비율로는 6.9%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중·대형업체들의 재무구조가 나빠진 것으로 평가됐다.


조합측은 그동안 BBB∼CCC등급 사이에 주로 분포하던 매출액 70억∼300억원대의 중견업체 상당수가 건축 등 민간부문에서의 브랜드, 마케팅 열세에 의한 매출부진으로 CCC 등급 미만으로 추락한 데 따른 결과로 분석했다.


이로 인해 중간등급인 BB∼B등급 업체의 점유비율도 20.5%에서 16.4%로 감소한 반면 CCC 미만 하위등급 업체는 작년 2천955개사(62.8%)에서 4천710개사(73.8%)로 급증했다.


다만 하위등급 업체중에선 C등급(18.3→16.2%), D등급(18.3→16.2%) 업체비중이 줄어들었지만 CC등급(9.5→16.6%)과 CCC등급(16.2→21.3%) 비중은 급증해 하위등급업체들의 신용등급은 전반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공제조합 신용평가부 관계자는 “전체적으론 신용등급 향상업체 50%, 동일업체 31%, 하락업체 19%로 등급 상향업체가 많지만 상향업체 상당수가 전년도 신평을 받지 않거나 수주실적이 경미해 등급이 낮았던 조합원들이라 실제 체감등급은 비슷하거나 하향조정된 셈”이라며 “작년 이후 시작된 경기불황과 엄격해진 회계기준 적용에 따른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같은 건설공제조합의 신용평가 결과에 대해 신용등급 하락사를 중심으로 강력한 불만도 제기되고 있다.


향후 1년6개월간 적용될 이번 신평에 의해 대표자 입보면제 및 징구서류 간소화 혜택을 받을 수 있는 BBB 이상 업체비율이 10% 미만으로 줄었고 수수료할인율을 적용받을 BB 이상 업체비율도 26.4%에서 16.0%로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한국은행과 건협 등이 발표한 올해 건설업 재무관련 조사상 업계의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등 각종 지표가 상향된 것으로 평가된 데다 유사기관인 대한주택보증의 신평 결과 역시 상향 조정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이번 결과를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중견업체인 S사 관계자는 “건설공제조합 평가모델 개발업체의 콘텐츠를 활용중인 대한주택보증이 매긴 신용등급은 최상위인데 공제조합 등급은 CCC인 점에 대해 어떻게 납득해야 하느냐”고 반문하고 “실적 적용기간이나 주택과 전체건설이란 차이를 감안해도 평가의 공정성에 대한 의문을 지우기 힘들지만 향후 보증상 불이익 때문에 항변하지 못하는 업체들이 많을 것”라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평가과정에 대해 업계가 납득할 수 있는 충분한 근거자료가 공개돼야 하며 수수료율 절감 등을 위한 조합의 신용등급 하향 조정 유인을 제거하기 위해 수수료율 할인 등 혜택 부여를 등급이 아니라 전체 업체내 일정비율로 고정화하는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金國珍 기자 jin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