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3-11-05
- 담당부서
- 조회수91
건설업계가 내년도 기업경영및 사업계획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정부정책, 국내경제및 건설경기 전망 등 전반적인 건설경영환경이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3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예년같으면 기업경영·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기본방향을 설정하는 시점이지만 시공능력 상위 5개건설업체 모두가 내년도 사업계획 수립방향을 현재까지 설정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건설은 당초 지난달말까지 사업본부별 계획을 취합,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내년도 사업계획을 수립에 착수할 예정이었으나 아직까지 본부별 계획조차 잡지 못해 사업계획수립이 미루어지고 있다.
현대건설은 이에 따라 본부별 계획 취합을 이달 중순 이후로 늦췄으며 이달말이나 내달초쯤 돼야 사업계획의 방향을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대우건설, LG건설, 대림사업 등도 마찬가지이며 삼성물산은 아예 사업계획의 수립을 내년 1월로 미루어 놓고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10·29 부동산 대책이 나온지 얼마 되지 않아 이 대책이 주택시장에 미칠 영향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고 있고 공공부문에 큰 영향을 끼칠 최저가격 낙찰제도와 턴키·대안제도의 개선방안도 아직 규제개혁위원회의 심의중이어서 내년도 사업계획 수립방향을 잡기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대우건설 관계자도 “내년도 사업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서는 주택부문이 어떻게 될 것인가가 가장 큰 관심”이라며 “공공부문의 물량도 증가보다는 감소가 예상되고 있는 등 전반적으로 시장전망이 밝지 않아 지금까지 나타난 현상을 놓고 분석 중에 있다”고 말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건설업계는 오는 5일 건설산업연구원이 개최하는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와 민간연구기관들의 경기전망에 관심을 갖는 동시에 최저가격 낙찰제도 및 턴키·대안제도에 대한 규제개혁위원회 분과회의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다른 건설업체 관계자는 “정부의 경제정책도 그렇고 특히 주택정책은 하루가 멀다하고 발표되는 상황에서 미래를 예측하고 이에 바탕한 사업계획 수립이 어려운 현실이며 연구기관의 전망자료도 신빙성이 낮을수 밖에 없어 고심중”이라고 지적하고 “공공부분의 건설공사 일감확보전망도 규제개혁위원회 등 정부정책이 확정된 이후에 업체별로 따져 봐야 할 처지”라고 말했다
/權赫用기자 hykwon@c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