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4-01-08
- 담당부서
- 조회수95
충북도내 건설업체들이 계속된 일감 부족난에다 업체난립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최근 철강업체의 가격인상 조짐에 ‘삼중고’가 되지 않을까 잔뜩 긴장하고 있다.
8일 도내 건설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와 동국제강 등 철강업체들이 지난해 말 슬래브와 철광석, 스크랩 등 원재료 가격의 급등을 이유로 일부 제품의 가격을 인상했으며 최근 들어 철근 등 제품가격을 인상키로 했다.
이에 대해 건설업계의 권익단체인 대한건설협회 등은 철강제품 가격 인상이 강행되면 해당업체의 구매를 줄이는 한편 공정거래위원회에 담합행위를 제소할 준비를 하는 등 강력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국내 전체 사용량의 65%를 차지하는 국내 고철 가격이 안정돼 있는 가운데 형강은 점진적인 감소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연초부터 일제히 철근과 형강, 후판 등의 제품가격을 인상하려하는 것은 과점을 이용한 담합의혹이 짙다고 비판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공정위가 철강업체들에 대해 가격인상 담합을 이유로 과징금을 부과했던 점을 지적하면서 올해 사상 최대 흑자가 확실시되는 철강업체들이 또다시 가격인상을 강행한다면 결국 최종 소비자인 국민의 주택구입비 인상으로 이어져 국민 부담만 가중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건설사들은 이에 따라 철강재 가격인상이 확정되면 공정거래위원회에 가격담합으로 철강업체들을 제소함은 물론 국내산 제품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국산 등 수입제품의 비중을 늘린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다.
업체 관계자는 “충북지역의 경우 회원과 비회원사를 포함해 600여개 일반건설업체들이 난립한 데다 일감마저 부족해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경영난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건설자재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철강제품 가격을 업체가 담합해 인상한다면 주택건설업체의 경우 어려움이 많다”며 “철강제품 인상에 따른 파급은 결국 내집 마련을 준비하는 국민에게 가장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