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4-01-27
  • 담당부서
  • 조회수93
청주·청원지역은 신 행정수도 이전과 경부고속철도 중간역 설치 등 각종 호재와 맞물리면서 수만세대의 아파트 물량을 쏟아내고 있는 가운데 이에 따른 건설현장 지역 하도급은 여전히 외면되고 있어 사업 허가권자인 지방자치단체의 강력한 권고나 지도가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새해들어 수천세대를 공급 준비중인 오창산업과학단지내의 아파트 건설현장도 해당 자치단체가 지역업체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있으나 참여는 미미한 수준이다.

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청원지역은 고속철도 오송역 설치 등의 각종 굵직한 호재로 대형 건설업체들이 시공하는 아파트 건설현장이 수십곳에 달하고 있다.

또한 청주지역도 오는 7월 착공 예정인 산남3지구도 8개필지의 공동주택용지가 마련돼 있어 내년 상반기쯤 대규모 물량을 쏟아낼 예정이다.

실례로 오창지구는 신동아건설(시행 건우C&D)이 시공하는 ‘신동아파밀리에’ 1560세대 건설현장을 비롯, 쌍용건설(시행 LCD산업)의 ‘스윗닷홈’ 620세대, 우림건설(시행 이원건설)의 ‘루미아트’ 1120세대, 원건설(시행 한국토지신탁)의 ‘코아루’ 945세대, 중앙건설(시행 보경산업개발)의 ‘중앙하이츠’ 920세대, 대우자판 건설(시행 빌더스씨앤디)의 ‘이안’ 2500세대 등 모두 7개 대형 건설현장이 들어섰거나 예정중에 있다.

그러나 현장 대부분이 지역업체 참여는 일부 공정만 참여하고 있을 뿐 주 공정인 토공, 골조, 잡철물, 창호, 미장방수 등의 참여는 전무한 실정이어서 지역업체 확대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건설현장의 주 공정 대부분은 시공업체의 타지 협력업체와 계약돼 있어 지역자금 역외 유출 현상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철저히 외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역 건설업계는 타 지역인 전북, 전남 지역과 같이 해당 시장·군수가 강력한 의지로 지역업체 참여를 유도해야 하며 건축허가시 허가조항으로 명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한전문건설협회 충북도회 관계자는 “대형 건설현장이 속속 들어서고 있지만 지역업체 참여는 미미한 수준”이라며 “해당 지자체의 강력한 의지로 지역업체 참여를 유도, 활성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충북지역은 이달 현재 토공 348개 업체, 철콘 929개업체 금속창호 221개 업체 등 총 1270개의 전문업체가 운영되고 있으나 수주난으로 각종 여려움은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민우기자 minu@cc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