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4-02-09
  • 담당부서
  • 조회수93
지난해 ‘10·29부동산종합대책’여파로 지역내 부동산경기가 급속히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따른 미분양 아파트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청주·청원지역은 신 행정수도 충청권 이전, 경부고속철도 중간역 설치 등의 각종 호재로 대규모 아파트 공급이 예정중에 있어 공급과잉이 우려되고 있다.

충청남·북도에 따르면 지난해 20여차례에 걸친 부동산종합대책 여파로 투기세력이 빠지면서 전년에 비해 미분양 아파트가 대폭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실례로 충북의 경우 지난해 미분양 아파트는 2021가구로 전년 1657가구에 비해 364가구 22.0%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전지역 미분양은 지난해 1069가구로 전년 965가구에 비해 104가구 늘어난 10.8%의 증가율을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또 충남 지역 미분양도 지난해 3675가구로 전년 2270가구에 비해 61.9%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처럼 미분양이 급등하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은 정부의 투기요인 사전 차단에 따른 잇따른 부동산 규제책 발표로 미분양 주택 물량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특히 충청지역은 천안·아산 신도시 건설과 오창·오송지역 신행정수도 유력 후보지 부각, 경부고속철도 역세권 등으로 대형 주택건설업체들이 공동용지를 대거 매입, 물량을 한꺼번에 쏟아내 미분양을 더욱 부채질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와 관련, 지역 건설업계의 한 관계자는 “충청권의 각종 호재로 대형 건설업체들이 신규 물량을 대거 공급하는 바람에 지역 중소건설업체의 미분양 아파트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면서 “지역내 신규 물량은 봇물을 이루고 있는 상태며 미분양은 급등하는 ‘기현상’이 속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충북도 관계자는 “지난해 잇따른 부동산안정책 발표 후 미분양 아파트가 큰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며 “현 주택시장 상황은 공급자에서 수요자 위주로 바뀌고 있어 미분양 증가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충청지역은 올해 대전, 천안, 아산, 청주, 청원지역을 중심으로 4만여가구의 신규 물량이 대규모로 공급 준비중이다. /이민우기자 minu@cc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