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4-05-27
  • 담당부서
  • 조회수93
대전·충남북지역 시공중인 지하철,고층 아파트 등 각종 대규모 민관공사의 시공실태 안전점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안전사고가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대전지방국토관리청은 대전 충남북 지역에서 벌이는 각종공사에 대한 안전점검 및 부실공사에 대한 감독권을 갖고 있으나 지역내 1000건이 넘는 방대한 공사량에 비추어 건설관리실은 3명 2개팀 7명이 점검에 임하고 있어 세부점검이 요구되고 있다.

대전, 충남북지역의 경우 대전도시철도 1호선 건설공사와 민간주택공사를 비롯해 주공, 토지공, 수공, 대전도시개발공사 등 정부기관의 발주공사와 대전시, 충남도와 일선 시·군 지자체의 발주공사 등 50억 이상 공사, 바닥면적 1만㎡ 이상공사 등 다중 이용시설은 안전점검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대형공사에 대한 감독권을 갖고 있는 대전국토청 건설관리실 안전점검반은 3명 2개조로 나눠져 매년 10개월(3∼12월)간 시공점검에 나서고 있으나 안전사고 및 부실공사를 파악하고 조치하기에는 역부족인 실정이라는 것.

이 청이 올해 점검한 실적을 보면 자체 발주한 168건중 4∼5월 두달간 하천국, 국도유지 등 32건에 대해 점검을 마쳤으나 지자체 발주 및 민간건축물에 대해서는 단 1건의 점검도 이뤄지 않아 우기를 앞두고 안전사고의 우려된다는 지적이다.

특히 중부권지역은 행정수도 이전과 관련 민간아파트 공사가 크게 늘고 있는데도 이들 업체들에 대한 해빙기 점검 9건과 우기대비 점검 6건만이 계획돼 있어 사전점검보다는 형식적인 감독이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 안전관리가 요구되는 대전도시철도 1호선의 경우 우기를 앞두고 콘크리드면의 균열,미승인 자재 등 복공판 안전시설의 점검이 이뤄져야 하나 사전점검보다는 지하철건설본부 자체감리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관리실 점검반은 인원부족을 들어 지난 1달 20개 현장의 점검실적도 구조물, 법면유실, 배수로 문제 등의 점검에 그치고 있어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점검은 소홀다는 지적이다..

대전국토관리청 관계자는 “소수인원으로 관내 각종 공사를 감독한다는 것은 사실상 무리”라며 “시공사의 안전의식에 의뢰하고 있는 형편이고 저가공사 등 특별관리 대상에 중점을 두고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김강중기자 gjkim@cc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