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4-08-26
  • 담당부서
  • 조회수87
2006년부터 오는 2015년까지 10년동안 총 1만1천909㎞ 규모의 하수관거가 새롭게 설치된다.


또 시설·설비가 노후된 하수관거 5천80㎞에 대해서도 전면적인 개·보수 공사가 실시된다.


환경부는 최근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하수관거 중장기 투자계획(2006∼2015년)’을 마련, 내년부터 사업대상지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등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키로 했다.


환경부의 조사결과 지난 2002년말 현재 하수관거 총 연장 7만5천859㎞중 61%인 4만6천111㎞가 10년 이상된 노후관거이며 관거연장 8.6m당 1개소가 불량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지난 70∼80년대부터 현재까지는 처리장 확충 등 하수도 보급이 가장 시급한 문제였으나 지난해말 기준 하수도보급률이 78.8%에 이르는 등 선진국 수준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는 하수처리의 효율을 높이는 하수관거 신설 및 정비공사를 중점 추진키로 했다고 환경부는 밝혔다.


이번 중장기 투자계획에 따르면 2002년말 현재 65.3%인 하수관거 보급률을 오는 2015년에는 72.3%로 증대키 위해 총 1만1천909㎞ 규모의 하수관거를 신설하고 5천80㎞의 노후관거를 개·보수키로 했다.


이를 위해 환경부는 1단계 사업으로 우선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총 7천170㎞의 하수관거를 신설하고 3천88㎞ 규모의 노후관거 정비사업을 펼치기로 했다.


이어 2015년까지는 4천739㎞의 하수관거 신설공사와 1천992㎞ 규모의 관거 교체 또는 보수공사가 실시된다.


환경부는 이에 따라 10년동안 총 10조4천328억8천500만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국고 6조2천511억8천600만원과 지방비 4조1천816억9천900만원 등으로 충당키로 했다.


이는 지난 98년부터 올해까지의 연평균 국고지원액 4천억∼5천억원보다 약 20% 이상(1천억) 늘어난 것으로 오는 2012년을 기점으로 관거설치 또는 정비부문이 국내 하수도사업의 절반 이상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환경부는 전망했다.


특히 환경부는 내년부터 하수도사업에 대한 양여금 지원이 중단되면서 국고와 지방비 투자비율이 평균 6대 4에 달하기 때문에 그동안 지자체에 따라 사업이 지지부진했던 단점을 해소하고 공사에 대한 지자체의 적극적인 추진 및 관리·감독이 실효를 거둘 것이라고 설명했다.


사업대상지별 투자 우선순위로는 팔당지역이 1순위고 이어서 4대강 수계지역과 연안지역 등 기타수계지역 순이다.


또 동일권역내에서는 팔당지역의 경우 기존의 시범사업 계획대로 추진되고 4대강 수계는 상수원 직상류에서 중류, 최상류 순으로, 기타 연안지역은 특별관리해역에서 남·동해, 서해 순으로 우선 투자된다.


환경부는 이를 위해 내년초부터 각 지자체별로 사업대상지 및 시설소요를 파악토록 할 방침이며 이 같은 우선순위에 따라 연차별 사업대상지를 매년말 선정해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연차별·단계별 사업계획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예산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각 지자체에 대한 관리·감독을 강화해 사업이 지연되거나 예산이 이월되는 폐해를 사전에 방지해 나갈 방침이다.


/奉承權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