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5-05-16
- 담당부서
- 조회수89
“음성군 입찰참여 원천봉쇄” 비난
대한건설협회·충북도회 등 시정촉구
이민우 기자
속보=음성군이 음성문화예술회관 건립공사 발주과정에서 과도한 입찰자격으로 지역업체 참여를 외면하고 있다는 본보 보도<5월 14일자 4면>와 관련, 대한건설협회 충북도회 등 지역 건설업계가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대한건설협회 충북도회는 15일 충북도내 지방자치단체 중 음성군만이 지역건설업체 입찰 참여를 원천봉쇄하고 있어 업체의 수주난은 더욱 가중시키고 있으며, 그동안 음성군의 발주관행은 지역업체를 철저히 외면해 결국 ‘지역업체 죽이기에 나서고 있다’고 성토했다.
◆지역업체 외면 일관=실례로 음성군은 지난해 2월 2일 발주한 음성 맹동국민임대산업단지 조성공사(사업비 253억6천5백만원)도 입찰 참가자격을 실적(41만8천853㎡ㆍ전국 발주)으로 제한해 전국 33개업체만이 참여했고 많은 지역업체가 입찰에 참여조차 하지 못했다.
충북도회 관계자는 “당시 협회에서는 회원사의 요청에 따라 발주처인 음성군에 시공능력평가액으로 발주하면 최고 100%에서 최저 49%까지 도내 업체의 수주비율이 가능한 공사로 입찰자격을 시공능력평가액으로 정정 건의했으나 군은 이를 외면, 반영하지 않아 결국 외지업체(전남업체)가 수주했다”며 “이에 따라 지역자금 역외유출 현상 등 부작용이 속출했다”고 토로했다.
또 음성군은 지난 1월 12일 지역 최대 하수관거공사인 음성군 하수관거 정비공사를 이 같은 실적제한으로 묶어 발주해 많은 의혹을 받아 결국 입찰이 전면 취소됐다.
그 결과, 적기에 입찰을 집행하지 못해 300억원에 달하는 지역공사가 환경부에 발주권이 이관, 광역권공사로 변경됐다.
◆타 지자체와 대조ㆍ사례=이와는 반대로 타 지역 지자체는 지역업체 보호를 위해 적극 앞장서고 있어 좋은 대조를 보이고 있다.
제주시가 지난해 1월 발주한 ‘시민복지타운 도시개발사업 기반시설공사(사업비 270억7천4백만원)’는 음성군의 지난해 2월 발주한 맹동산업단지 조성공사와 마찬가지로 동일 유형의 공사인데도 지역업체 확대를 위해 입찰참가자격을 실적제한없이 발주했다.
특히 음성하수관거공사처럼 대규모 공사도 타 지자체에서는 지역업체 참여 유도를 위해 분리발주하고 있다.
광주광역시가 지난해 8월 5일 발주한 ‘하남2지구 택지조성공사(사업비 469억2천8백만원)’는 공구별 분할 발주하고 지역의무 공동도급비율을 49%로 규정 발주했다.
이에 앞서 전남도가 지난 2003년 5월 6일 발주한 ‘남악신도시 개발사업택지조성공사(사업비 1천493억9천6백만원)’의 경우 지역업체 확대를 위해 공구를 총 8개공구로 분할발주했으며, 입찰참가자격은 시공능력평가액으로 제한하고 지역의무 공동도급비율을 반드시 49%로 규정했다.
이와함께 보은군이 지난해 11월 입찰집행한 121억원 규모의 하수관거공사도 권역별 4개공구로 쪼개 분할발주를 실시, 지역건설업체들이 공사를 낙찰받을 수 있었다.
이에 대해 지역 D건설사 대표는 “음성군의 이 같은 행위로 비추어 볼때 자치단체 존립 의미가 없다”면서 “음성군 공직자들의 인식전환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