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5-09-30
- 담당부서
- 조회수90
'전자입찰시스템 조작 불가능'
조달청, 일부 언론 제기 의혹 근거없는 내용
조달청과 충북지방조달청은 지난 28일 일부 언론이 전자입찰시스템 조작에 내부 직원이 개입했으며 이에 대한 검찰의 내사가 진행되고 있다는 보도와 관련해 조달청 전자입찰 시스템은 조작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구축됐으며, 보도에 인용된 ‘시스템 감리사’는 존재하지도 않고 이와 사건과 관련해 조달청 직원이 검찰조사를 받은 사실이 확인된 것도 없다고 해명했다.
조달청은 나라장터 전자입찰시스템은 공인전자서명과 국가공인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 입찰과정의 모든 문서가 암호화돼 제출ㆍ저장되며 내부직원이나 시스템관리자에 의한 조작은 불가능하도록 돼있다고 29일 밝혔다.
또한 지난 8월 중 보안컨설팅 업체로부터 외부 해킹 등 보안진진단을 받은 결과 취약점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조달청 관계자는 “나라장터 서비스는 지난 2002년 10월에 개통된 이후 2005년 8월까지 약 33만건의 전자입찰에 4천900만명이 참가했으나 해킹 의혹사례는 한반도 일어나지 않았다”며 “언론에 보도된 조달청 시스템 감리사는 존재하지도 않으며 검찰조사를 받은 사실이 확인된 바 없다”고 밝혔다.
낙찰시스템의 예정가격 결정은 복수 예비가격 및 무작위 자동추첨 기능을 통해 응찰자가 가장 많이 선택한 4개의 복수예비가격의 산술평균가격으로 자동결정되므로 사전에 낙찰가에 근접하게 응찰가격을 조작할 수 없으며 지금까지 1개업체가 년간 단위로 10억원이상 공사를 10건이상 낙찰받은 사실도 없다는 게 조달청 관계자의 설명이다.
김희문 충북지방조달청장은 “나라장터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전자문서는 전자서명법에 근거한 원본 전자문서만 인증되고 있어 프린터 등을 통한 위ㆍ변조 가능성은 전혀 없다”면서 “지금까지 발생한 나라장터 시스템 문제는 지난 2월 공인인증서 대여사건이 있었으나 이 역시 시스템 밖에서 이뤄진 행위로 검찰과의 협의를 통해 재발방지와 시스템 보완 및 관련규정 개정을 완료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