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5-12-12
  • 담당부서
  • 조회수95
대기업 지역건설업체 외면
충북 행정도시·오송분기역 개발 호재


 대기업 협력업체 제도가 행정중심 복합도시 및 호남고속철도 오송분기역 등 각종 개발 호재에도 불구하고 충북지역에 실질적인 혜택을 안겨주지 못하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제조업에 비해 활발한 기업활동이 전개되고 있는 건설업의 경우 지역 2000여 건설업체들의 개발 참여가 극소수에 그치는 것으로 드러나 제도개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충북도와 대한건설협회 충북도회 등에 따르면 지난 3년간 건설경기 동향을 분석한 결과 관급공사 침체 및 민간 건설, 특히 아파트 건설공사 확대 등으로 요약될 수 있다.

그러나 행정도시 배후도시인 충북지역의 내년도 건설물량이 전국 최대로 예상되는 가운데 대기업 협력업체제로 인해 지역 건설업계들은 별다른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지 못하고 있다.

실제, 청원군 오창산단 내 대형 건축공사 현장의 경우 시공업체인 A건설은 기존 협력업체로 등록되지 않은 도내 전문건설 및 레미콘 등의 업체를 끌어들이지 않고 있다.

또 내년 3월과 4월 대단위 아파트 물량을 쏟아낼 예정인 청주·청원지역 대부분 1군 건설사 역시 협력업체로 등록된 타 지역 전문업체를 대거 동원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반면 충북업체들의 참여는 극히 저조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아파트 발코니 확장 합법화에 따른 지역 인테리어, 건설공사 확대로 인한 레미콘, 건축자재 등 지역업체들이 뚫고 들어갈 일감은 수두룩하지만 실제 참여는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다.

건설업계는 '브랜드 인지도에서 떨어지는 지역 업체들의 경우 하청공사 및 자재납품 등을 통해 건설호재의 실질적인 혜택이 필요하지만 시장공략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이 같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지역사회의 공감대 형성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1군 건설업체인 B사 관계자는 '상당수 지역업체들의 경우 공사 기간에만 장비와 인력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아 타산을 맞추기 힘들다'며 '대부분 최저가로 이뤄지고 있는 건설공사의 수지타산을 위해서는 기존 협력업체를 동원하는게 수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