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6-01-05
  • 담당부서
  • 조회수95
충북, 3곳중 1곳 건설수주 '제로'
지난해 단 1건도 못한 업체 32%




 행정중심 복합도시와 경부·호남고속철도 오송분기역, 기업·혁신도시 등 각종 호재로 건설물량이 대폭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정작 충북지역 건설업체들의 공사 수주실적은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대한건설협회 충북도회가 지난해 1월부터 10월까지 회원 및 비회원 650개사의 공사 수주실적을 분석한 결과 총 439개 업체만 공사를 수주했으며 전체의 32%인 211개사는 단 1건의 공사도 수주하지 못했다.

또 수주를 못했거나 5억원 미만을 수주한 업체는 전체의 60%인 468개사에 달했으며, 연간 손익분기점으로 분류할 수 있는 10억 원 미만 수주업체 비율은 무려 85%인 549개사에 달했다.

반면 50억 원 이상 수주한 업체는 전체의 1.37%인 6개사에 그쳤으며, 10억 원 이상 50억 원 미만을 수주한 업체는 전체의 15%인 95개사로 집계됐다.

이처럼 지역 건설사들의 수주실적이 저조한 것은 각종 호재로 민간 건설 물량이 급증했음에도 대부분 업체가 여전히 관급공사에 매달리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해마다 관급공사 물량은 크게 감소하는 반면 아파트 건설, 민간 택지개발, 민간리스(BTL) 사업 등이 확대되고 있음에도 대부분 중·소 업체들은 시대적 추세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또 70억 원 이상 대형공사의 분할발주 및 지역 업체 컨소시엄 확대 등 자치단체 차원의 지역업체 지원대책이 효과를 거두지 못한 것도 한 요인이다.

업계는 '최근 3년간 단 1건의 공사도 수주하지 못한 업체가 수두룩하다'며 '단기 경기부양 효과가 높은 건설업이 침체될 경우 지역경제 활성화가 어렵기 때문에 자치단체와 지역사회 차원의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