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6-01-06
  • 담당부서
  • 조회수93
호재불구 지역건설경기 '꽁꽁'
대형시공사 협력업체와 계약…지역업체 도움안돼




올해 충북도내에 기업도시와 혁신도시 건설 등 각종 호재로 인해 건설경기가 살아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지만, 실제로 도내 건설업계는 예년과 별반 다를 것이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충북도내에 아파트 공사 등 각종 건설공사가 예정돼 있지만 대형 시공사들이 대부분 협력업체와 계약을 체결해 공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지역 업체들은 하도급을 받기가 하늘에 별따기로 어렵다는 것이 중론이기 때문이다.

5일 청주시와 지역건설업체 등에 따르면 행복도시와 오송신도시를 비롯해 진천ㆍ음성 혁신도시, 충주기업도시, 각종 택지개발지구 등 도내에는 건설공사가 잇따라 진행된다.

하지만 시공사들이 대부분 지역업체를 외면한채 협력업체나 자회사와 하도급 계약을 체결하기 때문에 공사가 활발하게 진행되더라도 지역업체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것.

특히 지역 업체들은 인허가권을 갖고 있는 자치단체에 대한 불만이 높다.

자치단체가 허가조건에 지역업체의 의무 도급비율을 적극적으로 요구한다면 시공사들도 지역업체를 배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내 자치단체는 지역업체들이 가격과 기술면에서 수도권 등 대도시 업체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고, 법적으로 정해진 의무도급비율이 없어 적극적으로 나설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청주시는 “산남지구 택지개발의 경우 40~50%가량을 지역업체가 하도급을 받아 공사중에 있으나, 공정별 지역하도급 업체를 공개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산남지구의 경우 D업체의 경우 20개 공정에 지역업체가 15곳이 참여하고 있으며, 또 다른 D업체는 19개 공정에 12개 지역업체가 참여하는 등 지역업체의 참여비율이 높은 편”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지역업체들은 이같은 청주시의 주장을 신뢰하지 않고 있다.

지역 A업체 관계자는 “청주시의 이같은 주장은 레미콘과 아스콘, 철근 등 납품 자재까지 포함된 참여율일 가능성이 높다”며 “택지개발에 지역업체의 참여율이 50%까지 된다면 적극적으로 홍보를 해도 모자란데 공개할 수 없다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호남 등 타 자치단체의 경우 외지업체가 낙찰되면 난리가 날 정도로 지자체에서 지역업체를 강력히 도와주고 있다”며 “특정업체를 도와달라는 것도 아닌데 공무원들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못하는 이유를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정순진 전문건설협회 충북도부회장(삼보건설 대표)은 “외부에서 볼때는 각종 호재로 인해 지역건설경기가 살아날 것이라는 견해가 높을지 못라도 건설업계에서는 이같은 호재가 ‘그림의 떡’일 수 밖에 없다”며 “현실적으로 자치단체에서 적극적인 협조를 해주지 않는다면 대기업의 하도급을 받기는 거의 불가능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