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6-03-22
- 담당부서
- 조회수95
관급공사 레미콘 파동 우려
中企協, 레미콘조합에 '밀린 회비 내라'
중소기업협동조합 중앙회가 이달 말까지 예정된 단체수의계약 품목 추천을 조건으로 레미콘조합 측에 밀린 회비 30억 원을 요구하면서 전국 관급공사 현장마다 건설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충북레미콘협동조합에 따르면 지난 2004년부터 본격적인 논의가 이뤄진 레미콘 단체 수의계약 제도 폐지는 일단 2년간 유예한 뒤 오는 2007년부터 전격 시행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중소기업협동조합 중앙회와 레미콘조합 측은 품목 추천 10일을 남겨 둔 21일까지 마라톤협상을 벌이며 절충점을 찾는 데 주력했지만 합의는 이뤄내지 못했다.
중소기업청이 직권으로 연말까지 레미콘 단체 수의계약 제도를 유지하기로 결정했지만, 양측은 밀린 회비 30억 원 중 10억 원을 선납하는 문제를 놓고 또다시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또 중기협은 레미콘조합 측이 주장하고 있는 7억 원에 대한 선납만 이뤄질 경우 중소기업간 제한경쟁 입찰에 대한 추천도 거부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일단 올해 단체수의계약 제도가 유지될 것으로 보이고 있지만, 중기협과 레미콘조합간 이 같은 갈등의 불씨가 완벽하게 해결되지 않을 경우 충북지역은 물론, 전국 관급공사 현장에서 레미콘 '공급 대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이로 인해 자칫 일반 경쟁 입찰 방식이 도입되면 대기업 위주의 시장 재편이 이뤄질 수밖에 없어 중·소 레미콘 업계의 동반 몰락도 우려된다.
이와 함께 관급레미콘 공급에 차질이 발생하면 대부분 관급공사 시공업체들이 사급으로 전환해 외상 및 장기 어음거래를 부추길 수 있어 이래저래 심각한 부작용도 예상된다.
지역 건설업계는 '선거철을 앞두고 충북지역에서 각종 건설공사 조기발주가 이뤄지고 있는 상황에서 레미콘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않을 경우 심각한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충북레미콘협동조합 관계자는 '중기청의 직권 조정으로 일단 한 고비를 넘겼지만 아직 갈등의 불씨가 완벽하게 사라지지는 않았다'며 '올해 단체수의계약 제도가 유지된다고 해도 내년부터 폐지될 경우 레미콘 공급에 상당한 차질이 우려된다'고 밝혔다. 한편 모두 43개 레미콘 업체들이 업역으로 삼고 있는 충북지역의 연간 관급 레미콘 공급물량은 150만㎥로 금액으로 따지면 750억 원에 달하고 있으며 민수물량까지 합치면 500만㎥에 금액은 2500억 원에 이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