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6-03-28
  • 담당부서
  • 조회수91
충북 레미콘업계 위기감 팽배
원자재·유류비 인상불구 단가 해마다 떨어져



최근 충북도내에 건설 붐이 일고 있지만 레미콘 업체들은 적정 가격이 형성되지 않아 위기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해마다 모래ㆍ자갈 등 원자재값이 상승하고, 유류비도 크게 올랐으나 레미콘 가격은 해마다 하락, 원가보존이 어렵다고 업계는 하소연 하고 있다.

27일 충북도내 레미콘 업계에 따르면 청주ㆍ청원지역을 비롯한 증평ㆍ충주ㆍ제천지역에 아파트 건설붐이 일면서 공급물량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대기업 건설사들이 민수사업 레미콘에 대해 조달단가 이하의 가격을 요구하는 사례가 많아 납품업체들이 울상이다.

현재 조달품 납품단가는 전년도 일반 시중거래가격 등락폭을 그대로 반영, 레미콘공업협동조합과 단체수의계약으로 체결하고 있다.

하지만 조달청은 물가상승분을 전혀 반영하지 않고 도ㆍ소매 구분없이 시중에서 형성된 평균가격을 기준으로 등락폭을 결정, 민수가격의 90~95% 범위내에 단가를 적용하고 있다.

이같이 조달청은 이미 형성된 민수거래가격을 기준으로 조달단가를 결정하고 있고, 아파트 건설현장 등 일반 민수시장에서는 조달단가 이하의 가격을 요구, 가격인하의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

게다가 민수거래도 관수가격 이하로 납품해 줄 것을 업체에 강요하고 있으며, 레미콘업체간 저가 경쟁을 유도해 경영악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와 함께 레미콘 업체간 출혈경쟁과 덤핑공세로 시장질서와 적정가격이 붕괴돼 스스로 좌초했다는 지적도 일고 있다.

현재 도내 레미콘 공급가격은 기준가격의 60%가지 폭락하면서 레미콘 업계 내에서는 위기감이 팽팽히 감돌고 있다.

실제로 청주권 관수공사 레미콘 가격은 ㎥당 5만원선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지난해에 비해 4.8%가량 하락한 것이다.

충주ㆍ제천ㆍ단양 등 도내 북부권은 이보다 더 심한 9.3%의 레미콘 가격이 하락했다.

도내 한 레미콘 회사 관계자는 “관수거래는 즉시결재라는 조건으로 민수가격보다 5~10% 인하를 요구하고 있고, 민수거래는 관수거래 이하로 납품해 줄 것을 강요해 원가상승분 보전은 커녕 지난해보다도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며 “관수거래가 적정가격을 형성시켜 위기에 빠진 레미콘 업계를 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