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6-04-04
  • 담당부서
  • 조회수91
건설업계 선거특수‘옛말’



공공기관 및 자치단체의 발주 물량이 날로 줄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의 건설업체들이 올해 들어 각급 대학과 교육청의 학교 공사 등에 BTL(민간투자)방식이 잇따라 도입되면서 설상가상의 모습이다.
특히 그동안 선거 때에는 공공기관에서 각종 공사의 조기발주로 건설업계에 일시적인 특수가 있었으나 올해는 이마져도 찾아볼 수 없는 상태다.
BTL 사업이 당초 기대했던 지역의 업체들 참여가 여의치 않고 재무나 실적에서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대기업들의 독무대가 되고 있어 영세 건설 업체들은 한 숨만 쉬고 있다.
충북건설업계에 따르면 올해 도내 공공기관의 발주 물량이 전체적으로 지난해에 비해 10~20% 이상 줄고 경기침체와 함께 BTL사업의 확대 추진으로 상대적 발주 건수가 격감하고 있다.
여기에 기대했던 BTL 사업에 지역의 업체가 참여한 경우는 아직 1~2곳에 불과 하고 대부분 외지의 대기업들이 독식하다 시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민간투자방식이 수백억 원씩 묶어서 이뤄지다 보니 지역 업체의 참여가 현실적으로 여의치 않고 분할해서 발주 할 경우 건당 물량이 늘어날 수 있는 것이 오히려 그만큼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올해 충북도교육청이 첫 BTL 방식으로 도입한 242억원 규모의 청주 송절고, 산남고와 오창 목령고 신축과 청주교육청이 발주한 217억원 상당의 장전초등학교, 장전중학교 등 3개교 설립에 역시 외지 대기업 등이 주로 참여했다.
또한 충북대학교, 교원대학교, 청주교육대학 등 3개 국립대학의 생활관사업 통합추진위원회가 실시한 449억원 규모의 BTL사업에도 지역의 ㅇ업체만이 대기업인 ㄱ기업 등과 함께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앞으로 도교육청은 향후 30년이 넘어 노후 된 교실과 급식실 개축사업과 15개의 강당, 체육관 증축과 택지개발지구 3곳의 학교신설 등에 민간투자를 확대할 것으로 알려져 지역 업체들의 어려움은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지역중소업체의 참여 확대를 위해 의무시공비율을 지난해 40%에서 49%로 확대하고 지역의 중소기업출자비율을 40%에서 20%로 낮췄으나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지역의 건설업체 관계자는 “민간투자 방식에 지역의 업체들이 참여한다는 것은 사실상 극히 일부 업체를 제외하고 불가능에 가깝다”며 “오히려 지역의 영세업체들은 공사 물량 감소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