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6-07-03
- 담당부서
- 조회수94
충북건설업계‘그림의 떡’우려
올해 들어 각급 공공기관 발주 공사 물량이 격감하면서 지역건설업체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기대를 모으고 있는 행정복합도시 건설 참여도 현실적으로 불가능, 그림의 떡으로 전락할 우려가 높다.
또한 충북 혁신도시 등 간간히 이뤄지는 대형 공사는 일부 1군 업체들만의 잔치가 되고 있어 지역의 많은 업체들이 골고루 참여할 수 방안 마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공사금액이 수조원대에 이르는 충남 연기·공주 일원의 행정복합도시 건설공사는 올해 토지 보상이 거의 마무리되고 내년부터 구역별 1단계 토목 공사가 발주될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 충북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는 길은 거의 없다.
관련 규정에 따라 아무리 충북 인접이라고 해도 이곳은 행정 구역상 엄연히 충남에 위치, 지역제한에 묶여 참여가 어렵고 단위별 공사 발주 금액이 수천억 원에 달해 전국 입찰이 뻔하기 때문이다.
결국 수주실적이 많은 대기업들이 독식할 것이고 공동도급을 한다고 해도 충남지역 업체들만이 참여한 가운데 이뤄질 수밖에 없다.
다만 충북의 업체들이 참여할 수 있는 것은 도급이 이뤄진 뒤 개별적으로 하도급을 받아 공사를 하는 것인데 이마저도 쉬운 일은 아니다.
참여도 어렵지만 설사 하도급을 받는다고 해도 20~30% 부금으로 수익성 불확실 등 암초가 곳곳에 버티고 있다.
지역의 업체들이 행복도시 건설에 기존의 규정을 벗어나 참여할 수 있는 길은 중앙정부 차원의 특별법을 만들거나 해당 광역자치단체간에 협의를 통해 상생하는 것이다. 또 행정복합 및 혁신도시 등 행정구역이 다른 대형 공사장에 각기 지자체 업체들이 서로 공사도급에 참여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광역단체장, 정치권, 건설업계 인사 등의 공동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대한건설협회 충북도지회 관계자는 “공사금액만 수조원대에 달하는 행정복합도시 건설에 지역제한으로 충북지역 건설업체가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이 현실적으로 없다”며 “다만 정부 차원에서 문호를 개방하거나 충?남북 광역 단체 간 상생을 위해 서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