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6-08-08
  • 담당부서
  • 조회수89
위기의 건설업 회생길 연다
충북도, 대형 민간공사 공동도급·하도급 권장 명문화 추진



충북지역 상당수 건설업체가 관급공사 물량을 따라 주소지를 옮기는 이른바 '철새' 업체로 전락하고 있는 가운데 충북도 차원의 지역 건설업 활성화 대책이 추진돼 관심을 모으고 있다.

충북도는 최근 목요경제회의 등을 통해 대형공사에 대한 지역건설업체를 참여를 확대시키기 위한 방안의 일환으로 아파트와 택지개발, 재개발 사업 등 대형 민간공사에 대한 지역 업체의 공동도급과 하도급 권장을 명문화하기로 했다.

또 공공기관이 발주하는 대형공사에 지역 업체를 참여시키기 위해 도로사업을 효율적으로 분할 발주하고, 충북개발공사가 시행하는 대규모 사업의 경우 200억 원 미만으로 분할 발주하며 공동도급과 하도급 의무를 부여할 계획이다.

도는 또 도로보수와 하천정비 등 주민 숙원사업 중심으로 지역업체의 도급이 가능한 사업을 적극 발굴하는 한편, 지역건설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를 개선하기로 했다.

이처럼 지역건설업 활성화를 위해 충북도가 발 벗고 나선 가운데 향후 일선 시·군의 '마인드' 개선과 지역 건설업체의 자생력 강화가 관건이 되고 있다.

실제로 아파트 건설사업의 경우 분양가 억제에만 몰두하면서 정작 지역 건설업체의 하도급 참여는 도외시하고 있는 데다 대형 건설사 역시 협력업체 제도 때문에 지역에서 선뜻 하도급 공사를 할당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전북 전주시가 대형 건설업체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하도급 현황을 추진하는 등 적극 대응하고 있는 것은 모범적인 지역건설업 활성화 대책으로 꼽히고 있다.

여기에 자본력과 기술력 등 자생력은 갖추지 않은 채 공사수주에만 몰두하고 있는 일부 지역 건설사들의 '페이퍼 컴퍼니화'도 경계의 대상이다.

이에 따라 충북도는 부실 건설업체에 대한 퇴출작업을 더욱 가속화하는 한편, 우수 건설사에 대한 파격적인 인센티브 제공 등 보다 능동적인 대책마련이 요구된다.

지역 중견 건설사인 O사 대표는 '지역에서 20년 이상 건설업체를 운영하면서 느낀 문제점은 관급공사 입찰에서 중견업체나 신생업체 모두가 동일한 조건을 갖는다는 것이다'며 '마치 공사 수주가 '로또' 당첨으로 여기지고 있는 풍토 개선이 이뤄지지 않은 한 위기를 맞고 있는 지역 건설업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힘들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