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6-10-30
  • 담당부서
  • 조회수91
지역건설업체엔 ‘그림의 떡’
오창산단 등 수십조 추산 충북지역 택지개발




충북도내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는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이 불황에 허덕이는 지역 건설업체들에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고 있다.

도시기반 확충과 지역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추진되는 택지개발사업이 일부 외지 대형 건설사들과 협력사들의 돈벌이를 위해 ‘땅만 빌려 준 꼴’이라는 지역 건설업계 비판 여론이 거세다.

충북도 등 자치단체들의 지역 건설업체 지원 및 보호 방안 마련이 절실하다.

지난 2002년 참여정부 출범 이후 충북도내 곳곳에서는 행정도시·혁신도시·기업도시 등 잇따른 개발 호재에 힘입어 모두 17군데 정도의 택지개발사업이 진행되고 있거나 이미 완료됐다.

대표적인 곳이 청원군 오창과학산업단지와 오송생명과학산업단지·현도지구, 청주 산남3·강서2·성화1, 2지구·제천지방산업단지·충주첨단지방산업단지·음성 금석지구 등이다.

수 천세대 이상의 아파트 건설은 물론 도시기반구축을 위해 각각의 택지지구에는 적어도 수 조원대 이상의 공사비가 투입된다.

지역 건설업체는 최근 3∼4년 사이 충북도내 곳곳에서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해 최소 수 십조원 이상의 공사 물량이 발주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하지만 수 십조원대 공사 물량 대부분은 일부 외지 대형 건설사들과 이들 협력사들의 몫으로 돌아갔다.

택지개발사업지구에서 각종 공사를 진행하는 대형 건설사들이 “지역업체는 시공능력이 떨어진다”, “공사 단가가 맞지 않는다” 등의 이유로 하도급을 외지 협력사들에게 맡기는 것이다.

주재선 전문건설협회 충북도회 사무처장은 지난 26일 한빛일보와 충북개발연구원이 공동 주관한 ‘지역건설업 활성화 방안’ 워크숍에서 “청주 산남3 택지개발사업에 지역 건설업체는 고작 3개 업체만 참여했다”면서 “그마저도 공사액이 미미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단체장들이 지역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 허가 조건에 최소 30∼40% 정도를 지역업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정(=조례)을 만들어야 한다”며 “이미 대구광역시에서는 지역에서 진행되는 건설공사 발주 때 지역하도급업체 40%를 참여시키도록 하는 규정을 시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주준길 건설협회 충북도회 사무처장과 조철주 청주대 교수는 이날 워크숍에서 “지역업체가 대형업체보다 기술력이 뒤떨어진다는 부정적 시각과 선입견을 버려야 한다”면서 “지역업체 참여를 의무화하는 조례 제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건설협회 충북도회 관계자는 “도내 각지에서 진행되는 택지개발사업에 지역 건설업체 참여는 전무하다고 보면 된다”며 “겉으로는 택지개발사업이 곳곳에서 진행돼 지역 건설업계 호기라고 볼 수 있지만 오히려 도내 건설업계 공사 수주 실적은 해마다 줄어들고 있는 형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