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6-11-29
- 담당부서
- 조회수92
"행복도시 지역업체 참여강구"
본사 주최‘지역건설업 활로는 없는가’토론회서 제기
“무자격자 정비…건실한 업체 지원을”
지역건설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건설업과 주택업의 양극화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것을 고려하여 정책의 강도 및 제반 제도의 도입시기 조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8일 라마다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본보 주최 ‘위기의 지역건설업, 활로는 없는가?’란 주제의 토론회에서 주제발표에 나선 고철 주택산업연구원장은 “영세한 지역건설업체들이 변화에 적응 할 수 있는 충분한 사전 예고 기간과 지원체계가 필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고 원장은 “지방 개발사업시 지역업체 수주 및 시공 참여 기회 확대가 필요하고 무자격 부실업체 정비를 통한 지방건설산업 건전화 유도 등 기술력과 경쟁력을 확보한 건실한 지역 중소업체 선별 및 육성을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 원장은 이어 정부의 잇따른 부동산 정책과 관련, “지방 주택시장은 미분양이 증가하는 등 정책의 부작용만 발생하는 결과를 초래해 지방주택산업 자금난 가중과 지방경제의 침체 요인이 되고 있다”며 “지방주택시장 상황을 반영한 주택정책의 탄력적 운용과 투기지역 지정 등의 요건이 해소된 경우 세부 지역별 해제 등 지역주택
산업 육성을 위한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문했다.
이에 앞서 주제발표에 나선 강권중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기반시설본부장은 “내년 하반기부터 행정도시건설사업 등 대규모 개발사업이 착공되는 등 건설물량이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지방 중소건설업체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중소건설업체와 컨소시엄 참여시 우대하는 등 대형공사입찰시 지방중소업체의 참여확대방안이 강구돼야 한다”고 제시했다.
강 본부장은 또 “지역의무공동도급(84억 미만공사)과 지역제한(50억원 미만공사)입찰제도의 병행실시와 최고가치낙찰제도 등 선진화된 입.낙착찰제도의 시범사업 추진 등 지방중소건설업체 활성화 방안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열린 토론에서는 주준길 대한건설협회충북도회 사무처장, 주재선 대한전문건설협회충북도회 사무처장, 김종운 충북개발공사 사장, 곽승호 청주시 도시건설국장, 나세찬 (주)신영 전무, 정순진 삼보건설(주) 대표 등이 참석한 가운데 행복도시 충북건설업체 참여 방안과 대기업군의 지역할당제 등 각종 현안사항 등에 대한 공동모색과 대응방안 등 심도 있는 토론이 이어졌다.
/ 김동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