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7-01-18
  • 담당부서
  • 조회수91

건설회사 비상경영 체제 돌입



건설회사들이 오는 9월 분양가 상한제와 원가 공개 등 주택 건설시장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했다.

1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앞으로 분양가 상한제가 시행되면 땅 주인(시행사)과 시공회사(건설사)가 다른 이중 사업구조가 무너질 것으로 보고, 자체사업 및 개발사업 비중을 확대하는 등 사업구조 재편에 나섰다.

◇ 대형건설사 자체, 개발사업 비중 늘린다 = 대림산업은 지난해 말 투자개발팀을 별도 투자개발실로 승격시키고, 공모형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이나 도심 재개발사업 등 대규모 개발사업 수주를 확대하기로 했다. 또 현재 시행사 도급사업을 주로 해온 주택사업 1, 2, 3팀과 일반 건축팀 등 4개 팀을 2-3개로 줄이는 대신 사업관리팀의 인력을 보강해 자체사업을 강화할 방침이다.

GS건설은 지난해 말 조직개편에서 대규모 PF사업 등을 담당하는 개발팀을 3개에서 7개로 늘려 대형 프로젝트 수주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대우건설은 주택보다는 올해 해외건설 및 국내 각종 개발사업, 공공 민간부문 수주를 확대하기 위해 사내 수주지원단을 신설했다.

◇ 중견건설사, 해외·관공사 등 사업 다각화 = 중견 건설사들은 기존 주택부문이 아닌 해외분야나 민자 SOC 등을 통한 사업 다각화에 주력할 방침이다.

월드건설은 올해 해외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해외사업팀을 본부로 승격시키고 경력직 공채를 통해 직원도 20여명으로 늘려 캐나다, 미국, 사이판 등지에서 주택건설과 리조트 사업을 펼칠 계획이다.

국내 주택사업을 주로 해온 현진도 올해를 해외시장 진출 원년으로 삼고 두바이와 중국 쿤산, 베트남 호찌민에 주상복합아파트 총 3천200여가구를 분양키로 했다.

우림건설도 올해 SOC사업과 토목 관공사 사업 참여 비중을 확대하는 등 국내사업 비중을 주택에서 공공부문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 싼 땅 찾고, 비용 줄인다 = 건설사들은 분양가 상한제 도입후 시행사가 포기한 토지 매물이 많이 쏟아질 것으로 보고, 사업 부지 확보를 위해 용지팀을 강화하는 방안도 모색중이다.

특히 건축비가 중소 건설사에 비해 높은 대형 건설사는 분양가 상한제가 시행되면 건축비 부분의 이윤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보고 향후 개발이익이 높은 부지를 확보하는데 주력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