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7-02-20
  • 담당부서
  • 조회수92
지역 건설업계 '죽을 맛'
건축물량 급감·미분양 주택 폭증 '이러다 공멸'


정부의 강도 높은 부동산 규제가 잇따라 시행되면서 건축허가 면적이 크게 감소하는데다, 미분양 주택도 지난해 말에 이어 올 들어 2개월 연속 폭증하는 등 충북지역 건설경기가 극심한 침체 국면을 맞고 있다. ▶관련기사 2·8면

한국은행 충북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4/4분기 건축허가 면적은 132만 3000㎡로 지난 2005년 4/4분기의 197만 2000㎡에 비해 33%인 64만 9000㎡나 감소했다.

같은 기간 건축착공 면적도 81만 1000㎡에 그쳐 지난 2005년 107만 2000㎡의 24%인 26만 1000㎡나 감소하는 등 주거·상업·공업용 건축물 모두가 고전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문제는 지난해 4/4분기에 이어 올 들어 2개월 연속 건설 실물지표가 살아나지 못한 채 지속적인 침체 국면을 보이면서 지역 건설업계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우고 있다는데 있다.

부동산정보업체인 스피드뱅크 조사 결과,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2월 중 미분양 주택은 4만 7625세대로 지난 1월의 4만 6279세대에 비해 2.9%나 늘었다. 특히 충북지역 미분양 물량은 2292세대로 지난 1월 말에 비해 23.6%나 증가하면서 전남 51.5%에 이어 전국에서 2번째로 높은 미분양 주택 증가세를 보여주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까지 건축허가 감소 및 아파트 미분양 폭증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은 잇따른 고(高) 분양가 논란과 정부의 1·11 부동산 대책 등 규제일변도의 시책이 직접적인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또 시중의 부동자금이 주택·부동산을 외면하고 있는 데다 금융권의 잇따른 대출규제까지 겹치면서 이 같은 불안 요인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그렇다고 예측하기 힘든 부동산 시장의 흐름 속에서 건설업계가 올해 예정된 주택공급을 오는 12월 대통령 선거 이후로 연기하거나 오는 9월 분양가상한제 및 원가공개 이전으로 앞당기는데도 상당한 문제점이 많아 이래저래 심각한 상황은 계속될 전망이다.

한국은행 충북본부 관계자는 '지난해 11월부터 주택 매매가격이 소폭하락하면서 4/4분기 중 보합세를 유지했으나 올 들어 강화된 부동산 정책과 관련 세재의 영향으로 주택가격이 하향 안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며 '이로 인해 우려되고 있는 공급위축·고용악화 등 부작용 해소를 위한 종합적인 대책이 시급하다'고 분석했다.

지역 부동산업계는 '건축허가 감소 및 미분양 폭증은 부동산 시장의 냉각과 과열을 판단하는 중요한 잣대가 된다'며 '분양가 상한제와 원가공개 등 올 상·하반기 모두 호재가 없는 상황에서 지난해 4/4분기부터 시작된 건설업 위기가 방치될 경우 국제통화기금(IMF) 관리체제에 버금가는 공멸 또는 붕괴현상도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김동민·김재광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