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7-06-05
- 담당부서
- 조회수95
충북 골재 수급대란 예고
모래·자갈등 평당 500~1000원 인상 '파란'
레미콘 수급 막대한 차질 … 줄도산도 우려
올 들어 수도권과 충북지역의 골재 가격이 폭등하면서 향후 심각한 수급 대란이 예고되고 있다.
한국골재협회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현재 생산원가 상승에 따른 전국 골재 업체들의 가격조정 단행으로 수도권과 충북지역의 골재가격이 ㎥ 당 500∼1000원가량 인상됐다. 특히 충북의 경우 청주지역 육상모래 가격이 3000원 오른 1만 3000원에 거래되고 있는 것을 비롯해 충주·영동·괴산 등지의 부순모래와 자갈 가격이 지역별로 500∼1000원 올랐다.
충북지역 골재 가격이 폭등한 것은 하이닉스 반도체 공장 증설, 대규모 아파트 단지 건축공사 본격화 등으로 골재 수요가 폭증하고 있는 반면, 공급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또 규제 강화로 육상골재 채취가 더욱 까다로워진 데다 바다가 없는 충북지역에서 바다골재를 사용할 경우 타 지역에 훨씬 많은 운반비용이 책정되는 등 이래저래 가격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처럼 골재 가격이 폭등하면서 충북지역 레미콘 수급에도 막대한 차질이 우려된다. 자갈과 모래 등 골재 가격 인상으로 원가 경쟁력 확보에 비상이 걸린 반면, 1일 1만 ㎥ 이상 레미콘을 사용하고 있는 대형 사업장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레미콘 업계는 벌크시멘트 가격과 경유값, 인건비 등이 줄줄이 올라 생산 원가가 예전보다 평균 10% 이상 인상됐으나 공급가격은 전혀 인상되지 않아 수익성 악화가 장기화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 중·소 레미콘 업체들의 줄 도산도 우려된다. 지난해 전국적으로 지방의 중·소 레미콘 업체 14개사가 도산한데 이어 올 들어 이미 4개사가 부도를 냈다.
이런 가운데 중앙정부 또는 자치단체가 안정적인 골재 공급 및 레미콘 생산원가 현실화를 위해 '석산 개발' 및 체계적인 골재 채취를 공영화할 필요성이 높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까다로운 허가조건은 그대로 두고 있으면서 대형 국책사업만 강행하는 등 '이중적 태도'로 인한 사회적 파장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지역의 중견 레미콘 업체 관계자는 '골재·레미콘 문제가 전국적인 사회문제로 대두될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정부와 각급 자치단체는 아무런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며 '발상의 전환을 통한 안정적인 수급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중·소 골재·레미콘 업체의 줄 도산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