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7-06-15
  • 담당부서
  • 조회수98
충북왔던 대형주택건설사들 짐싼다
부동산 경기침체·폐쇄적 지역풍토 '사업포기' 속출
수도권 '쏠림현상' 재현… 참여정부 균형발전 공염불


행정도시 등 각종 건설호재로 최근 3∼5년 간 충북지역 주택건설 시장에 진출했던 국내 대형 건설업체들이 잇따라 철수하고 있어 현재 추진되고 있거나 향후 예정된 대단위 아파트 조성사업에 막대한 차질이 우려된다.

대형 시행·시공업체 등에 따르면 오는 9월 분양가 상한제 시행을 앞두고 국내 부동산 경기가 극도로 침체되면서 일부 중견 건설업체가 부도를 내는 등 경기침체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런 가운데 행정도시 배후도시권인 청주·청원지역에 진출했던 대형 건설업체들이 그동안 추진해오던 '땅 물색' 등을 접고 수도권으로 회귀하는 현상이 빚어지고 있다.

실제, 청주 서부권에 1000세대가 넘는 아파트를 공급했던 D사의 경우 지난해 말까지만 해도 청주·청원권을 대상으로 2차 사업지를 구하기 위해 동분서주했다.

하지만, 지나치게 높아진 땅값과 각종 규제 등으로 이른바 '땅 작업'이 원활하게 추진되지 않자 최근 수도권인 경기도 일원에서 땅 매입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 업체 고위 관계자는 '행정도시 건설 등의 후광으로 최근 3∼4년간 반짝 특수를 누렸던 충북지역의 경우 공급과잉이 우려되고 있는 데다 폐쇄적인 지역풍토까지 개선되지 않아 대부분 1군 건설사가 사업 기피지역으로 분류하고 있다'며 '그래도 주택사업을 중단할 수 없는 상황에서, 이제는 수도권만 남았다는 얘기가 돌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청주 도심에 초고층 아파트를 분양했던 M사 역시 한동안 2차 사업지를 모색하다가 최근에는 아예 사업을 접고 현재까지 미분양된 10여 %의 물량을 소화하기 위한 최소한의 인력만 가동하고 있다.

여기에 기업도시 건설지인 충주와 한때 혁신도시 분산배치 기대감이 높았던 제천지역 역시 미분양 물량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추가 사업을 검토하고 있는 건설업체가 전무할 정도다. 이처럼 지방권 주택시장에 찬바람을 불고 있는 것은 정부의 강력한 규제가 오히려 수도권 '쏠림현상'으로 이어지고 있는 데다 정부의 신도시 정책이 이를 부채질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시행사들은 '참여정부 출범 이후 의욕적으로 추진됐던 수도권과 지방 간 '균형발전' 시책이 정권 말기 급속히 위축되고 있다'며 '현재 지방에서 추진되고 있는 대형 국책사업을 신속하고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범정부적 대책과 불필요한 규제를 완화하는 등 후속조치가 시급하다'고 지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