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7-12-03
- 담당부서
- 조회수103
충북 대형 건설공사 '그림의 떡'
지역 건설업체 참여비율 저조… 경기부양효과 떨어져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시책으로 도내에서 각종 대형 건설공사가 잇따라 진행되고 있지만, 지역 건설업체의 공사참여는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실질적인 경기부양 효과가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충북도 등에 따르면 한국도로공사가 최근 경기도 안중~강원도 삼척을 잇는 동서고속도로 중 충북지역 통과구간인 음성~충주 간 5~7공구에 대한 1단계 저가심의를 벌인 결과, 5공구(충주시 노은면 문성리∼수룡리 5.5㎞)의 경우 금광기업(80%)과 한국종합건설(20%) 간 컨소시엄이 시공업체로 선정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또 6공구(노은면 수룡리∼가금면 가흥리 7.3㎞)는 풍림산업(72%)과 SR건설(18%), 양지종합건설(10%) 간 컨소시엄이 1순위에 올랐고, 7공구(가금면 가흥리∼엄정면 율릉리 4.7㎞)는 동부건설(80%)과 토우건설(20%) 간 컨소시엄이 다음달 중순 시공업체로 선정될 것으로 확실시되고 있다.
문제는 5공구 820억 원, 6공구 651억 원, 7공구 848억 원 등 충북에서 보기드문 대형 관급공사임에도 충북지역 건설업체의 참여비율이 10~20%에 그치는 등 지역업체 참여비율이 극히 저조하다는데 있다.
앞서 지난 9월 11일 선정된 충북 진천·음성 혁신도시 내 132만 ㎡의 1공구 토목공사에 대한 시공업체 선정에서도 동양그룹 산하 동양건설산업이 70%를 차지한 반면, 지역 건설업체인 로드랜드의 참여비율은 30%에 그쳤다.
이처럼 충북도내 대형 건설공사에 대한 지역업체 참여가 저조한 것은 253억 원 이상 국제입찰 대상 대형공사가 대부분 최저가입찰로 시공업체를 선정하면서 자본규모가 영세한 상당수 지역 건설업체 사이에서 ‘공사에 참여해도 손해’라는 인식이 팽배하면서 응찰조차 기피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자치단체가 아닌 국가기관과 정부투자기관 등의 경우 지역업체와 컨소시엄을 구성했을 경우 가산점을 주는데 그치는 방식으로 사실상 1군 건설업체 위주의 시공업체 선정관행을 탈피하지 못하고 있는 것도 한 요인이다.
여기에 충북도와 도내 일선 시·군이 건설활성화 지원 조례 등을 제정하면서 건설경기 부양을 외치고 있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정형화된 계약관련 법률과 내부 지침 등을 개선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지역 건설업계는 “행정도시와 기업·혁신도시 등 각종 건설호재에도 불구하고 지역 건설업체들은 공사를 수주하지 못해 해를 거듭할수록 채산성이 악화되고 있다”며 “수도권 대형 건설업체와 지방 중·소 건설업체 간 실질적인 균형발전을 위한 국가계약법 등의 개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내 자치단체 계약부서 공무원들은 “행정기관이 아무리 지역업체 참여를 권고해도 대부분 발주관서가 대형업체 위주의 발주관행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며 “지역 건설업체들도 행정기관만 바라볼게 아니라 최저가입찰제 및 국제입찰 대상 확대 BTL·BTO방식 확산 등 급변하고 있는 국내 건설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각고의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동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