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8-03-13
- 담당부서
- 조회수102
충북지역 건설업체 고사위기
부동산 규제 강화로 시행ㆍ시공 구조 붕괴 조짐
대형업체, 자체조직 통한 사업 추진…줄도산 우려
지난 2002년부터 시행된 도시개발법 이후 충북지역 중·소 건설업체들의 개발시행 업무를 통해 자구책을 찾고 있는 가운데 최근 지나치게 강화된 부동산 규제로 시행·시공 구조가 무너질 조짐을 보이면서 또 다시 위기를 맞고 있다.
특히 시행·시공구조가 무너질 경우 그동안 주택건설사업에 매진해온 지역의 상당수 건설사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금융비용 등을 감당하지 못해 도산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국내 '빅10' 건설업체 및 지역 개발시행사 등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 도입된 분양가상한제 등으로 주택경기가 침체되면서 국내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비용절감 등을 통한 분양가상한제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런 가운데 고급브랜드로 각광받고 있는 대부분 '빅10' 건설업체들은 최근 자체적으로 개발사업부 등을 신설하거나 기존 사업부를 확대·개편한 뒤 부동산개발 업무에 밝힌 경력직 직원을 잇따라 공채하고 있다.
또 신규로 주택 및 상가 분양을 계획하고 있는 중견 업체들도 그동안 시행사에서 맡아 처리하던 대부분의 용역을 직접 처리하기 위한 경력직 공채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들은 자체 조직을 통해 부동산 개발과 관련된 인·허가를 직접 수행하거나 조합방식으로 추진되는 재개발·재건축 물량 수주에 나서는 등 변화된 모습을 잇따라 드러내고 있다.
개발사업의 최초단계로 꼽히는 지주동의 작업 등은 해당지역 건축사와 법무사 등을 통해 시행한 뒤 구역지정 후 자체 인력을 직접 투입한다는 복안을 세워놓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국내 대형 건설업체들이 사업패턴을 바꾸면서 지역의 중·소 건설업체들은 점점 설자리를 잃어가고 있다.
사회간접자본(SOC) 축소에 따른 관급공사 급감으로 공사수주가 어려운 데다 자체사업으로 추진해도 분양효과를 장담하기 어렵기 때문에 애를 태우고 있는 것이다.
시공능력평가액 '빅10' 업체의 한 고위급 관계자는 '새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어떻게 바뀔지 모르지만, 지금 대형 건설사들은 자체 인력 확보 및 자회사·계열사 등을 통해 시행·시공 파괴에 중점을 두고 있다'며 '이 같은 현상은 1군 건설사 뿐만 아니라 향후 2군 이하 중견 건설업체로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지역 개발시행사의 한 대표는 '도내 건설업체 중 자체브랜드를 갖고 있는 2개 건설업체를 제외하고 자체 분양사업을 전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업체가 없다'며 '이런 상황에서 시행·시공구조가 무너질 경우 지역 건설사의 입지는 더욱 좁아질 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김동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