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8-03-18
  • 담당부서
  • 조회수98
건설사, 레미콘업계에 횡포

일부 업체에 아파트 대물로 떠넘긴 의혹

레미콘 값 연말에 '마이너스 매출' 강요

원자재값 폭등으로 충북지역 중·소 레미콘업계가 채산성 악화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국내 일부 대형 건설사들이 레미콘 납품업체를 대상으로 '마이너스 매출'을 강요하고 일부 업체에 아파트를 대물로 떠넘긴 의혹이 제기되고 있어 향후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청주·청원지역 중·소 레미콘업계와 지역 건설사 등에 따르면 청주·청원권 레미콘업체들이 지난해 6월 1~5일과 7월 19일 등 두차례에 걸쳐 30여곳의 대형 사업장에 대해 레미콘 선별납품을 벌인 가운데 4~5개 현장에서 레미콘 납품가격을 3%가량 인상키로 약속했었다.

이에 따라 레미콘 납품중단 문제가 해결된 가운데 청주시 흥덕구 내 한 택지지구에서 아파트를 건축하던 서울 A사의 경우 지난해 말 레미콘 납품업체를 대상으로 '마이너스 매출'을 강요했다는 것.

청주·청원권 레미콘 업체들의 강력한 납품가격 인상요구를 일단 수용한 뒤 자금수요가 몰리는 연말에 '마이너스 매출'을 요구해 레미콘 구입가격을 선별납품 이전 가격에 맞춘 것이다.

이로 인해 일부 레미콘 업체들은 '마이너스 매출' 요구를 받고 즉시 납품을 중단했지만, 대기업 소속 레미콘 업체들의 저가 납품이 계속되면서 지역 중·소 레미콘 업체들은 설자리를 잃게 됐다.

특히 청주시 흥덕구 민간택지에서 아파트를 건축하고 있는 지방 소재 B사는 레미콘을 납품한 업체측에 아파트를 판매하는 '거래행위'로 지역 중·소 레미콘 업체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수요처의 아파트 판매요구를 이기지 못해 대기업 소속 2개 레미콘 업체는 직원 명의 등으로 각각 2채와 1채를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지역 중·소레미콘업체와 달리 아파트를 대물로 받고 레미콘을 납품하면서 조달청 기준단가 대비 60% 초반의 초저가에 해당 아파트 공사현장에 납품하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자본력이 취약한 중·소 레미콘 업체들의 경우 해당 현장에 대한 레미콘 납품을 중단하거나 아예 포기하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

청주 청원지역 레미콘 업체의 한 관계자는 '원자재값 인상으로 생산원가가 폭등한 상황에서 레미콘 납품가격 인상을 일시적으로 수용햇던 일부 대형 건설사들이 여론이 수그러지자마이너스 매출 을 강요하고 아파트 대물 까지 강요하고 있다' 며 '이로 인해 중 소 레미콘업체들은 경영회생을 위한 돌파구를 찾지 못하는 등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해당 아파트 신축현장의 한 관계자는 '(레미콘 납품가 대물지급 질문에 대해)아파트 분양이 어려운 상황에서 납품업체를 대상으로 분양홍보가 이뤄졌고 이 과정에서 일부 업체의 직원 등이 아파트를 분양받았다' 며 '레미콘값은 지불하고 아파트는 분양한 것으로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불공정행위 와 무관하다' 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