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8-04-02
- 담당부서
- 조회수99
'이대로 가느니 면허 반납하는게 낫겠다'
물량감소·과당경쟁에 대형사 독식 겹쳐 '사실상 부도'
지역 건설업계 진퇴양난
〈글싣는 순서〉
1 채산성 악화 지방 타격
2 대형사 '그들만의 잔치'
3 BTL민자사업 '그림의 떡'
4 지역건설시장 '붕괴중'
'이대로 가느니 차라리 부도를 내든지, 면허를 반납하는게 낫다.'
충북 지역 중소건설업체들은 공공물량 감소로 인해 수주·경영난으로 이어지면서 시름이 깊어만 있다. 일감 부족으로 인력과 장비를 거의 놀리고 있어 사실상 부도나 마찬가지라는게 지방업체들의 하소연이다.
실례로 청주전문건설업체인 T사는 지난해 기성실적은 전년에 비해 60%가 못미치는 40억원에 불과했다. 지난 몇 년동안 관급공사 등을 통해 매출 100여억원을 올릴 정도로 지방에서는 건실하다고 알려진 업체다.
그러나 지난해 공동도급으로 두 건의 공사를 수주하는데 그쳤다.
T건설 관계자는 '직원이 30여명에 이르는데 이대로 가다가는 절반 가량은 줄여야할 판국'이라면서 '적어도 올 상반기 60여억원은 달성해야 그나마 회사가 유지되지만 경쟁이 치열해 갈수록 힘들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지방건설업체들이 고통을 겪고 있는데는 과당경쟁과 건설업체 난립현상도 원인이지만 대형 건설사업들이 그나마 줄어든 물량을 독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지역내 공공 부문의 경우 지역업체가 수주한 금액은 20~30%에 지나지 않는다.
그만큼 지역건설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기는 다른 지역도 마찬가지다. 행정도시가 건설되면서 지난해 이후 건설경기가 가장 좋다는 대전·충남지역의 경우도 지역건설업체들이 수주량은 전체 물량의 20% 이하일 정도로 양극화가 심화돼 있다.
이에 따라 공공 및 토목 등 정부의 재정투자 건설사업이 크게 줄어든 상태에서 일감이 없는 지방중소건설사는 직접적인 부도 위기에 노출돼 있는 상황이다.
충북 괴산에 소재한 한 건설업체 관계자는 '정부는 지방건설경기 활성화로 부동산 거래세 인하, 정부입찰 물량 확대, 추경예산 집행 등으로 활성화를 꾀하겠다고는 하지만 이는 대형건설사들에게 집중될 수 밖에 없다'며 '적극적인 양극화 해소를 위한 보호대책이 없는 정책은 허울뿐'이라고 말했다.
건설산업연구원 관계자도 '상당 부분 지방업체들의 생존기반이었던 학교시설, 하수관거사업 등이 BTL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수도권에 소재한 대형건설업체들의 먹이감이 됐다'며 '지방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하는 지방건설사의 경영 악화는 지방경제 붕괴는 물론 국가경제에도 타격을 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자금력과 공신력, 규모면에서 대형 건설업체들과 경쟁이 불가능한 지역 중소지방업체들은 수주영역을 상실, 생존할 방안이 없다는 것이다.
대한전문건설협회 이민수 충북도회 실장은 '건설물량 확대나 정부투자사업 집행 등은 중소건설사에는 '그림의 떡''이라며 '국가공사 도급한도 확대도 실질적인 지방중소건설사를 육성할 수 있는 대책이 되기는 미흡하다'고 말했다. 하성규 중앙대 지역개발학과 교수는 '최저가 낙찰제공사는 물론 턴키공사, 민간투자사업 등에 지방업체 참여 지분을 확대하기 위한 인센티브를 적극적으로 시행할 필요가 있다'면서 '지방과 중앙의 불균형 심화에 따른 지방경제 붕괴를 막기 위한 조치들이 실질적으로 시행돼야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