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8-06-09
  • 담당부서
  • 조회수104
충북지역 건설현장 '초비상'
자재난 심화·화물연대 파업·레미콘 조업중단 등 잇따라




 최근 국제유가 폭등으로 건설자재난이 심화되고 있는 데다 화물연대 파업, 레미콘 조업중단 위기 등이 겹치면서 충북지역 건설현장에 초비상이 걸렸다.
 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충북도내 자치단체가 올해 조달청에 신청한 철근은 910건 3만 4000여 톤으로 이중 30%인 1만여 톤만 확보한 상태다.
 또 각종 건설자재값이 수시로 폭등하면서 통상 3개월에 한번씩 가격인상분을 반영하는 '에스컬레이션'을 통한 공사비 인상이 제때 반영되지 않아 일부 시공업체들의 경우 공사를 하면 할 수록 손해를 보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실제, 청주시가 발주한 흥덕구 시외버스터미널 주변 지하차도 건설현장은 공사에 공사에 필요한 철근은 3500톤이지만, 현재까지 확보된 물량은 800톤에 불과해 언제 공사중단이 이뤄질 지 모르는 상황이다.
 청주시 외곽을 연결하는 국도대체우회도로 공사는 지난해 말 철근 1300톤을 신청했지만 10%인 130톤밖에 확보하지 못해 아예 공사가 중단됐고 중·소규모 건설현장 중 상당수 현장이 치솟는 기름값으로 공사중단이 장기화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8일 오전 버스·화물차 유가인상분의 50%를 환급해주는 고유가 극복 종합대책을 발표했지만 10~25톤 화물트럭 운전자가 주축인 화물연대의 경유가 인하, 표준요율제 시행, 운송비 현실화 등은 아예 빠져 있어 화물연대의 총파업 가능성은 여전히 높다.
 운송료 협상시 정부 지원과 유가보조금 인상, 지급기한 연장과 표준운임제 시행, 면세유 지급, 원가공개와 담합행위 근절 등 정유사 제재 강화, 에너지 수급구조 다변화 등이 약속되지 않았다며 파업강행 의사를 피력하고 있다.
 건설노조는 레미콘과 타워크레인 등 건설기계에 대한 대책이 빠졌다면서 더욱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건설노조는 화물차나 건설기계나 똑같이 경유를 사용해 움직이는데 정부가 차별을 한다고 반발하면서 오는 16일 총파업 계획을 예정대로 추진키로 했다.
 이처럼 화물차량 및 레미콘, 타워크레인 등 각종 건설기계·장비가 일제히 조업을 멈출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현재 도내에서 진행중인 각종 국책사업과 아파트 건설현장 등에 막대한 피해가 예상된다.
 지역 건설업계는 '요즈음 건설자재를 확보하기도 힘들고 수시로 폭등하는 가격을 공사비에 반영시키는 문제도 쉽지 않다'며 '차라리 공사를 중단하는게 남는다는 말이 나돌 정도로 지역 건설현장이 심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