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8-06-20
  • 담당부서
  • 조회수99
화물연대·건설노조 파업 … 원자재 공급 차질
민간 건축공사 현장 피해 심각
시멘트 수급 중단… 공사 계약변경 불가능




 화물연대와 건설노조 파업으로 원자재 공급이 제때 이뤄지지 않아 공사중단 현장이 속출하고 있는 가운데 공공공사 현장보다 민간공사 현장에서 더욱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선(先)분양 뒤 공사에 착공한 일부 아파트 건설업체들의 경우 폭등한 원자재값과 파업에 따라 비상대책으로 투입된 투자비를 회수할 방법이 거의 없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해주고 있다.
 지역 건설업계에 따르면 화물연대 파업으로 시멘트 수급이 사실상 중단된 지난 17일 이후 도내 상당수 레미콘업체들의 경우 레미콘 생산을 중단했고, 이에 따라 도내 각 건설현장에 공급하는 레미콘도 제한적이거나 아예 중단한 사례가 수두룩하다.
 또 철근과 목재 등 다른 건자재도 공급되지 않으면서 이번 주말과 휴일을 고비로 도내 대부분의 민간 공사장 뿐만 아니라 관급 공사장 공사중단 사례가 속출할 전망이다.
 이처럼 화물연대·건설노조 파업에 따른 물류마비 등으로 민간 공사장 피해가 속출하고 있는 데다 일부 건설업체의 경우 추가로 소요되는 비용으로 심각한 경영압박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실제, 관급자재를 조달받는 공사현장의 경우 3개월에 한번씩 '에스컬레이션' 방식을 통해 당초 금액보다 비싸진 건자재값을 일부 보전받을 수 있지만, 민간 공사장은 사실상 보전방법이 없다.
 청원군 강외면에서 골조공사를 벌이고 있는 A업체는 당초 분양가에 '땅값+건축비+가산비용'이 포함된 상황에서 추가로 소요되는 비용을 회수할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레미콘을 공급하는 청원군 관내 B업체도 아파트 현장에 공급하는 레미콘 가격이 공급 당시 책정된 상황에서 시멘트값 인상폭을 반영하지 못해 공장을 가동하면 가동할 수록 적자가 발생하는 기형적인 구조를 안고 있다.
 이런 가운데 도내 덤프트럭 1800여대 중 60% 정도인 1200여 명이 가입한 건설노조 충북건설기계지부가 임대차 표준계약이 현장에서 안정적으로 이뤄질 때까지 파업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면서 공공·민간공사장 공사중단 사태는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청주의 한 중견건설업체 대표는 '모든 현장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그래도 관급공사는 나중에 가격인상분과 추가경비를 일부 보전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며 '하지만 사급자재를 사용하거나 분양가가 확정된 주택건설 업체와 공급가가 결정된 레미콘 업체들의 경우 파업이 장기화되면 도산위기를 맞을 수 있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