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8-07-09
  • 담당부서
  • 조회수95
충북 건설업체 '파업 도미노'우려
전국 상위 500개사 동참시 공공공사현장 80% '올스톱'




 건설 중장비로부터 시작된 집단행동이 전문건설업계와 종합건설사로 파급되며 '파업 도미노' 사태가 심각하게 우려되고 있다.
 유가급등으로 인해 촉발된 건설기계노조의 집단행동에 이어 이번에는 전문건설업체들이 등록반납과 공사중지 움직임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대한전문건설협회 토공협의회 소속 200여개사는 지난 7일 서울에서 '생존권 확보를 위한 간담회'를 열고 집단행동을 결의했다.
 이들 업체는 우선 대한전문건설협회 명의의 대정부 호소문을 통해 어려움을 알린 후 호소문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등록반납과 공사중지 등의 집단행동에 나서기로 했다.
 건설기계노조의 파업에 이은 이번 전문건설업계 집단행동 움직임은 유류비 및 건자재값 급등, 4대보험료 부담, 시공참여제도 폐지로 인한 원가부담, 표준품셈 하향조정 등에서 비롯된 것이다.
 더욱이 건설기계노조가 집단행동을 앞세워 표준임대차계약서의 수용을 요구하면서 건설기계를 임대해 있는 토공현장은 현재 공사를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충북지역 토공업체들도 중앙회 차원의 집단행동에 적극 동참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 1814개사(면허수 3138개) 중 토공업체는 412개사로 철콘 1189개사와 상하수도 445개사에 이어 3번째로 많은 업체가 영업중인 상황에서 적어도 50% 정도만 동참해도 지역 내 각종 공공공사 현장은 그야말로 '아수라장'으로 변할 수 있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건설기계에 이어 전문건설업체까지 집단행동에 돌입할 경우 그 다음은 원청업체인 종합건설사가 발주처와 하청업체 사이에서 '샌드위치'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는데 있다.
 지역 토공업체의 한 관계자는 '유가급등과 건자재값 폭등으로 중장비 업체가 고통받으면 전문업체~종합건설사로 이어지는 원가부담이 발생하게 된다'며 '이런 상황에서 발주처가 최소한의 에스컬레이션(물가상승분 공사비 반영)만 인정할 경우 공사의 한 주체는 '독박'을 쓰는 악순환구조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