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뉴로 바로가기

건설뉴스

  • 등록일 2008-07-31
  • 담당부서
  • 조회수97
'건설업체 경영난' 대책 마련 필요
수주물량 부족·유류·자재가격 폭등 삼중고



전국적인 수주물량 부족과 유류·자재가격 등의 폭등으로 대부분의 건설업체마다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부의 예산절감 및 대규모 국책사업의 추진 답보로 건설경기의 불황이 지속되고 있어 국가 및 지역차원의 대책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충북도는 30일 이종배 행정부지사 주재로 2/4분기 지역건설산업 활성화협의회를 개최하고 그동안의 추진성과를 점검한 뒤 건설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올들어 상반기 대비 대형 국책사업은 지난해 191억원 보다 크게 늘어난 2천771억원에 달하고 있으며 BTL사업은 7개 사업장에 51개 업체가 1천19억원(44%)을 공동도급·하도급 등으로 참여하고 있다.

관급공사 공동도급·하도급 참여비율은 총 172건 6천866억원 중에 3천531억원인 51%를 참여, 전년동기 49%에 비해 다소 늘었고 하도급은 총 227건 2천672억원 중에 1천867억원인 70%를 참여하고 있다.

또 이전기업 공사는 총공사비 1천271억원 중에 385억원인 30%를 참여했으며 민간아파트 건설공사는 총 1조80억원 중에 3천102억원인 31%를, 지역자재사용은 1천206억원 중에 901억원인 75%를 구입·사용했다. 금년도 지역업체 참여 확대를 위해 신규시책으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용적률 인센티브를 지역업체 참여비율에 따라 당초 2~5%에서 3~10%로 상향 조정했으며 건설업 등록·갱신처리기간을 법정처리기간 보다 크게 단축했다.

이와함께 국가기관 발주공사에 대해서는 지역건설업체를 많이 참여토록 하고 있으며 타 시·도와 차별성 있는 23개 시책을 발굴 추진하고 있고 외지업체에 대해서는 지역업체를 반드시 참여시켜야 한다는 풍토를 조성하기도 했다.

그러나 행정도시 건설 투자예산 및 사업축소 움직임에 대한 반발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충남·대전업체만 참여하고 있어 충청권의 세종시특별법 조기 제정을 통해 충북지역의 건설업체도 행정도시 건설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주공이나 토공 등 정부투자기관의 경우 본사 주관의 주요 자재구입과 공동발주로 지역업체의 참여 기회가 많지 않아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만큼 도내 우수 전문건설업체 및 자재납품업체를 발굴, 협력업체 등록을 추진하고 하도급 공사의 지역업체 추천 확대도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