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록일 2008-10-21
- 담당부서
- 조회수92
공사실적 ‘0’… 피 마른다
<위기의 지방건설 업계>1 일이 없다
2008년 10월 20일 (월) 20:52:25 김동석 dynews1991@dynews.co.kr
도내 건설업계가 계속되는 경기 침체에 이어 미분양주택 급증, 건자재값 급등, 금리상승 등 최악의 상황을 맞고 있다. 여기에다 금융권의 유동성 압박에 따른 자금난과 발주물량 축소에 따른 수주고 감소 등이 이어지며 존폐위기로 내몰리고 있다.
특히 지방의 경기 부양은 건설업에서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건설업에 대한 기대치가 높으나 전혀 회생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이에 지방 건설경기의 현주소, 침체 원인, 해소방안 등 3회에 걸쳐 진단해 본다. <편집자 주>
“1년에 최소한 20억원은 수주해야 현상유지를 할 수 있는데 올해는 턱없이 모자란 실적이어서 정상적인 회사운영이 버거운 실정입니다.”
도내 건설업체 대부분이 심각한 경영난을 호소하며 고사위기에 놓였다고 아우성이다.
지속되는 경기침체에 이어 글로벌 금융위기와 환율급등에 따른 금융불안, 철근 등 자재값과 기름값 폭등으로 인한 비용상승 등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여기에다 단 한 건의 공사도 수주하지 못한 ‘실적 제로(Zero)업체’가 나타나는 등 건설업계 전반이 심각한 수주난에 허덕이며 사실상 파산 직전으로 몰리고 있다.
대한건설협회 충청북도회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9월 말까지 비회원사를 포함한 도내 640여개 건설업체가 모두 428건, 5865억7600만원의 공사(민간공사 제외)를 수주했다.
이 같은 실적은 지난해 같은 기간 650건 8405억6700만원 보다 무려 30% 이상 감소한 수치로, 1년 전보다 건수로는 34.1%, 금액으로는 30.2%가 급감했다.
특히 올 들어 단 한 건의 공사도 수주하지 못하며 일손을 놓고 놀고 있는 실적 ‘제로(0)’ 업체가 수두룩하다.
건설협회 충북도회가 공개한 낙찰 현황을 보면 381개 회원사 가운데 절반이 넘는 52.7%인 201개사가 단 한 건의 공사도 수주하지 못했다.
공사 수주 업체 180개사 중 50억원 이상 대형 공사 수주업체는 18개사에 그쳤고, △30억∼50억원 수주 업체 17개 △10억∼30억원 수주업체 49개 △5억∼10억원 수주업체 41개 △5억원 미만 수주업체 55개로 나타났다.
그나마 공사 수주 업체 중 절반이 넘는 96개 업체(53.34%)가 10억원 미만 소규모 공사를 수주하는 데 그쳐 심각한 건설경기 불황을 보여주고 있다.
회사규모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업체 평균 1년에 20억원 이상을 수주해야 정상적인 운영이 가능하지만 상당수 업체들이 이에 미치지 못하는 실적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청주지역의 ㄱ건설 대표는 “경기침체에 이어 일감이 줄어 수주 기회가 줄어든데다 공사를 따내도 최저가 낙찰제에 따른 낙찰률 하락으로 수익성이 담보되지 않아 회사운영에 어려움이 많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이 처럼 도내 건설업계가 심각한 수주난을 겪으며 일감이 없어 도산한 업체가 올 들어 지난 15일 현재 20여개 업체를 육박하고 있다.
더욱이 그동안 지역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해왔던 지방 건설업체들의 이 같은 추세가 단기간에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데다 연말까지 자본금을 맞춰야하는 상황이어서 건설업계가 줄도산 위기에 놓였다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ㄴ종합건설 대표는 “심각한 수주난으로 업체들이 도산위기에 몰려 있다”며 “특히 각 업체들이 자본금을 맞춰야 하는 연말이 되면 벼랑 끝으로 내몰리는 업체는 더욱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같은 상황이 초래된 것은 정부 및 자치단체의 SOC 투자 감소와 BTL사업 확대 등으로 공공 공사 물량이 축소 됐고 이는 고스란히 업체의 채산성 악화로 이어졌다는 것이 건설업계의 분석이다.
여기에 정부의 강도 높은 부동산 규제가 지속되면서 미분양 아파트 증가에 따른 민간 공사 부분이 침체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지역 건설경기 악화를 부채질하고 있는 것으로 충북건설업계는 보고 있다.
건설협회 충북도회 관계자는 “지역건설업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은 물량부족 뿐만 아니라 적정한 공사비 확보도 어려운 실적공사비 적용과 몇몇 정부투자 기관이 발주하는 대형공사는 과도한 실적제한, 지역공동도급 외면 등으로 입찰에 참여조차 할 수 없는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계속되는 경기침체에 이어 고유가, 고환율, 미분양, 신규대출 중단 등 최악의 상황을 맞은 지역 건설업계, 이번 주에 발표될 정부의 건설업계 지원대책이 이들의 숨통을 얼마나 풀어줄 수 있을지 주목된다.